최소 존속개체군 넘어 56마리…지역주민과 공존 추구

[출처=환경부]
[출처=환경부]

[그린포스트코리아 홍민영 기자] 환경부는 지리산 반달가슴곰의 야생개체 증가에 따라 기존의 '종 복원' 사업을 '서식지 관리' 사업으로 전환하고 지역사회와의 공존을 도모할 것이라고 2일 밝혔다.

이 같은 정책 전환은 2004년 첫 방사 이래 올해 초 지리산 반달가슴곰 개체가 56마리가 되는 등 최소 존속개체군인 50마리를 넘어섰기 때문이다. 최소 존속개체군이란 개체수의 변화, 환경변화, 유전적 변화, 자연재해 등에도 100년 또는 1000년 동안 생존율 99%를 유지할 수 있는 개체 수를 말한다. 

현재 56마리인 반달가슴곰의 개체 수는 출산‧수명(약 20~25년) 등을 고려할 경우 10년 후인 2027년에는 약 100마리 이상으로 증가할 것으로 추정된다. 지리산에서 수용 가능한 개체 수 는 78마리이므로 남은 개체는 다른 서식지를 찾아 이동할 가능성이 높다. 실제로 지난해 반달가슴곰 1마리가 백두대간을 따라 김천 수도산까지 약 100km 가량 이동한 사례가 있다. 

이에 따라 환경부는 향후 반달가슴곰의 행동권이 지리산 권역 외로 확산될 것에 대비해 서식지 보전 정책을 통해 지역사회와의 공존을 적극 추진키로 했다.

우선 반달가슴곰과 지역사회의 공존체계를 구축한다. 

반달가슴곰이 1회 이상 활동했던 지역 또는 활동 예상지역인 5개 도, 17개 시‧군, 시민단체, 전문가, 국립공원관리공단 등이 참여하는 ‘반달가슴곰 공존협의체’를 구성해 올해부터 공존 활동을 전개한다.

이들은 오는 4일 전남 구례군 지리산 생태탐방원에서 ‘반달가슴곰 공존협의체 구성 및 공존선언식’을 개최한다. 이 행사에서는 반달가슴곰 복원정책 토론회가 개최돼 향후 반달가슴곰의 복원 방향을 모색한다.

또 반달가슴곰을 포함한 멸종위기종의 복원정책 평가와 공존정책 수립을 위해 별도 기구를 운영한다.

이어 반달가슴곰의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백두대간 생태축 복원사업을 적극 추진할 예정이다.

환경부는 그간 추진된 생태계 연결사업이 반달가슴곰의 서식지 확산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는 것으로 평가했다. 이에 따라 지리산, 덕유산, 속리산 등 중남부권 생태축 훼손 및 단절지역을 조사하고 2022년까지 훼손지 복원사업을 진행한다. 아울러 서식환경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관계기관과 협력해 고속도로 폐도 복원, 생태통로 조성 등 연결사업도 병행할 방침이다. 

서식환경 개선에도 적극 나선다. 지리산, 덕유산, 가야산 등 주요 서식가능지역의 환경을 조사하고 생태계 복원사업과 연계, 서식지의 질적 향상을 도모한다. 아울러 민간과 더불어 덫‧올무 등 위협요인 분석 및 제거, 밀렵 예방 및 단속도 추진한다. 

출산‧이동시기 등 특정시기에는 국립공단관리공단 등 관계기관과 함께 탐방로를 일시통제하거나 예약탐방제를 시행한다.  

이밖에 안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한 활동도 강화한다. 반달가슴곰은 생태적 특성상 사람을 회피하는 성향이나 출산‧이동시기에는 예상치 못한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탐방로 등에 반달가슴곰 서식지 안내 현수막과 진입금지 안내방송시스템을 확대 설치한다. 대피소와 탐방로마다 곰 활동지역과 대처요령 등을 적극 안내하고 지역주민들에게는 곰 퇴치 스프레이 등을 소지할 수 있도록 행정 지원을 이어간다.

양봉, 농작물 피해 예방을 위해 전기울타리 등 방지시설을 설치하고 안내서 제작‧보급 등 구체적인 조치를 실시할 예정이다. 피해 발생 시에는 책임보험을 통해 적극적으로 배상한다. 

김은경 환경부 장관은 “반달가슴곰이 지역주민과 안전하고 행복하게 공존할 수 있도록 주민, 시민사회, 관계부처 및 지방정부가 함께 손을 잡아 달라”고 당부했다.  

hmy10@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