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문점 선언' 후속 조치에 속도

ⓒ청와대
ⓒ청와대

[그린포스트코리아 박소희 기자] 북한이 표준시 변경하며 ‘판문점 선언’ 후속조치에 들어갔다. 남북표준시 통일은 정적관계에서 협력관계로의 이행을 보여주는 상징적 조치로 남북정상회담 합의 결과를 조속히 이행하겠다는 의지로 해석된다. 이에 우리 군도 대북 확성기를 철거하기로 했다. 

30일 북한 최고인민회의 상임위원회는 ‘평양시각을 고침에 대하여’라는 정령을 채택해 다음달 5일부터 평양표준시를 서울표준시로 바꾼다고 공표했다.

최고인민회의 상임위는 “북과 남의 시간을 통일시키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결정한다”라며 “평양시각을 동경 135도를 기준 자오선으로 하는 9경대시(현재의 시간보다 30분 앞선 시간·UTC+9)로 고친다”고 밝혔다.

북한은 일본과 같은 표준시를 사용하지 않겠다며 30분 늦은 독자적인 표준시를 2015년 광복절부터 사용해왔다. 이같은 조치로 서울과 평양은 3년 가까이 다른 표준시각으로 지냈다.

윤영찬 청와대 국민소통수석에 따르면 27일 남북정상회담 당시 “시간이 달라 마음이 아프다”며 표준시 통일을 제안한 문재인 대통령에게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표준시는) 우리측이 바꾼 것이니 우리가 원래대로 돌아가겠다”고 대답했다.

우리 국방부도 ‘MDL 일대에서의 적대 행위 중지’에 대한 실천적 조치를 내놓았다.

국방부는 군사분계선(MDL) 일대 대북확성기방송 시설을 다음달 1일 철거하기로 했다. 

앞서 국방부는 23일 북한 풍계리 핵실험장 폐기 등 핵동결 선언에 부응해 선제적으로 대북 확성기 방송을 중지했다. 방송 중지에 이어 확성기 방송시설 철거도 북한에 앞서 시행하는 것이다.

국방부는 “우리 군은 확고한 군사대비 태세를 유지한 가운데 판문점 선언을 이행하기 위한 후속 조치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고 밝혔다.

1962년 대남 확성기 방송을 시작한 북한에 대응하기 위해 우리 군은 1963년 5월 1일 처음 대북확성기 방송을 시작했다. 이후 남북관계 부침에 따라 중단과 재개를 반복해오다 2004년 '6·4합의'에 의해 철거했지만 2010년 3월 이명박 정부 시절 천안함 사건을 계기로 다시 설치했다.  

ya9ball@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