男 '상용근로자' 우세…文대통령 일자리 공약 '성평등임금공시제' 등 재조명

[출처=Pixabay]

 


여성의 취업 활동이 활발해지며 지난달 여성 취업자 수가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9일 통계청 고용통계과에 따르면 지난달 여성 취업자 수는 1148만3000명으로 집계돼 1년 전보다 18만1000명 증가했다.

이는 통계청이 남성·여성을 분리해 통계를 낸 1982년 이래 가장 많은 인원이다.

연령대 별로 보면 40대 여성이 전연령대 통틀어 23.8%로 가장 높은 취업자 수를 기록했다. 뒤를 이어 50대, 30대, 20대, 60대 여성순으로 고른 취업률을 보였다. 

남성 취업자 수는 1543만3000명으로 지난해보다 13만1000명 늘어난 것과 비교하면 여성 취업자 수 증가 폭이 더욱 두드러진다.

[출처=통계청]

 


남녀 전체 연령대 비중과 비교할 경우 20대와 60대 이상에서 여성이 더 높은 취업률을 기록했다. 

통계청 관계자는 "30~50대 계층에서 여성 취업자의 비중이 낮은 이유는 이른바 경력단절여성(경단녀) 효과가 남아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관련해 여성 취업자는 남성 취업자보다 '단기간' 일자리에 더 많이 종사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경력단절을 고려해 안정적인 정규직보다 고용계약기간 1년 미만인 비정규직에 종사하며 잠시동안 필요한 생활비를 벌어들이는 것이다.

지난달 전체 임시근로자(계약기간 1개월 이상, 1년 미만)의 수는 509만6000명이었다. 이 가운데 남성은 202만명, 여성은 307만5000명으로 여성이 훨씬 많았다.

남녀 각각 전체 근로자 중에서 임시근로자 및 고용계약기간 1개월 미만인 일용근로자가 차지하는 비중은 여성이 31.7%, 남성이 19.6%로 여성이 '압도적'이었다. 여성 10명 중 3명은 비정규직인 셈이다.

반면 고용계약기간 1년 이상 '상용근로자'의 비중은 남성 53.1%, 여성 45.1%로 남성의 정규직 취업률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문재인 대통령은 대선 전부터 "여성의 경력단절 자체를 막겠다"며 여성 일자리에 신경 써왔다.

후보 시절 문 대통령은 △'남녀고용평등과 일·가정 양립 지원에 관한 법률' 전 사업장 적용 △임신·출산 관련 불이익 등 직장 내 성차별에 대한 근로감독 및 차별 시정 강화 △성 평등 임금공시제 도입 등을 공약으로 내세웠다.

이에 정현백 여성가족부 장관은 지난달 한 매체와의 인터뷰에서 "성평등임금공시제는 고용주들에게 압박이 될 것이다"며 "차관을 단장으로 좋은 여성일자리 늘리기 기획단을 구성해 운영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다.

lauryn01@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