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두대간을 따라 반달가슴곰 서식지 확대 가능성 청신호

반달가슴곰 모습 [사진=환경TV DB]

 


지리산에서 방사된 반달가슴곰이 경북 김천 수도산까지 81km를 이동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반달가슴곰의 서식지가 백두대간을 따라 이어질 수 있는 긍정적 사례인 것으로 풀이된다. 그간 환경부와 국립공원관리공단은 백두대간 생태축 복원사업을 진행해 왔다.

환경부와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이달 14일 경북 김천 수도산에서 포획된 반달가슴곰을 조사한 결과 지리산국립공원에서 이동한 수컷 반달가슴곰으로 판명됐다고 21일 밝혔다.

공단 종복원기술원은 포획된 반달가슴곰의 건강상태를 검진하던 중 귀에 상처가 아문 흔적을 발견, 이 개체가 2015년 출생해 같은해 10월27일 지리산에 방사한 KM-53(수컷)인 것으로 확인했다. 이 곰은 지리산 북부의 불무장등 능선 일대에서 활동한 개체였지만, 지난해 9월 이후 발신기 이상으로 위치추적장치가 미수신상태가 된 바 있다. 이에 공단은 동면기 이후 헬기를 이용해 모니터링 등 추적·관찰을 해왔다.

환경부는 이 반달가슴곰이 지리산국립공원부터 백두대간을 따라 광주대구고속도로와 대전통영고속도로를 통과하고 덕유산국립공원 등을 거쳐 김천 수도산으로 이동했을 것으로 추측했다.

환경부 측은 "그동안 야생동물 이동에 장애요인이었던 고속도로가 선형 개량공사로 교량화 되고 사치산 등에 생태통로가 설치되면서 야생동물 이동에 도움이 됐다"며 "단절된 서식지 연결을 통한 백두대간 생태축 복원사업의 효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고 전했다.

특히 환경부는 이번 반달가슴곰은 이례적으로 80km 이상 이동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반달가슴곰 복원사업 이후 개체가 이동한 사례는 경남 함양(15km)과 전남 구례(7km)지역이 있었다. 

지리산국립공원 종복원기술원 방사장에 살고 있는 반달가슴곰. [사진=환경TV DB]

 


이처럼 반달가슴곰의 서식지의 자연적 확대 가능성이 확인됨에 따라, 방사지역 인근 뿐만 아니라 보다 광범위한 지역에 대한 관리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지리산권역 외에선 안전사고와 올무에 의한 발달가슴곰 폐사가 발생, 아직 풀어야 할 과제도 남아있다고 환경부는 설명했다.

이에 환경부와 공단은 반달가슴곰 이동예상경로를 조사해 반달가슴곰이 지리산권역을 벗어나 이동시 체계적으로 모니터링하는 체계를 만들 방침이다. 또 이동예상지역의 지자체와 광역보호권역 설정·관리 등 이해관계자와 협력·대응체계를 구축할 예정이다.

아울러 환경부와 공단은 반달가슴곰에 의한 안전사고 우려에 대해 지리산권 복원사업 모델을 기초로 △독립가옥, 양봉지역 등 농작물 피해 예방과 △곰을 만났을 때 대처요령을 전파, △종, 호루라기 등 곰피해 방지용 물품을 나눠 주는 캠페인을 진행할 계획이다.

송동주 공단 종복원기술원장은 "이번 이동 사례는 반달가슴곰이 백두대간을 따라 덕유산으로 이동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주는 좋은 사례"라며 "한 종의 복원사업은 기술적인 문제 외에도 생태계 복원 필요성 등 국민들의 이해를 바탕으로 곰과 상생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중요한 요소"라고 말했다.

또한 "이를 위해 관련 지자체, 시민단체, 지역주민과 함께 공동으로 노력할 것"이라며 "복원사업이 지역사회 경제활동에도 긍정적 성과가 날 수 있도록 방법을 모색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포획된 반달가슴곰 이동경로 [출처=환경부]

 


hypark@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