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스발전소 모습 [출처=SK E&S]

 



문재인 대통령이 미세먼지 저감대책의 하나로 가장 먼저 노후석탄화력발전소에 대해 셧다운(일시중단)을 지시한 가운데, LNG 업계 및 학계에선 친환경적인 LNG발전소의 가동을 늘려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LNG발전소는 이번 노후석탄화력발전소 셧다운 시기에 돌변변수가 발생했을 시 비상 전력수급 수단이기도 하다.

1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LNG발전소는 석탄화력발전소에 비해 미세먼지 발생이 1000의1 수준에 불과하다. 

LNG발전소와 석탄화력발전소의 미세먼지 배출량을 비교한 결과 미세먼지(PM10)는 석탄화력발전소(유연탄)가 LNG발전소보다 열량당 1349.7배 많았으며. 초미세먼지(PM2.5) 배출도 열량당 1837.9배 많이 배출했다. 

아울러 온실가스는 석탄화력발전소가 LNG발전소에 비해 2.5배 많았으며, 대표적 대기오염물질은 질소산화물(NOx)도 석탄화력발전이 2배가량 더 많이 배출했다. 특히 산성비의 주요 원인인 황산화물(SOx)은 석탄화력발전소가 LNG 발전소보다 3226배 많이 배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LNG발전소와 석탄화력발전소 오염물질 비교 자료

 


이에 전문가들은 환경오염물질 배출원인 석탄화력발전소를 줄이고 LNG발전소를 추가해야한다고 지적했다. 영국과 독일 등 선진국들은 석탄화력발전소를 서서히 줄이고 있지만, 우리나라에선 발전단가가 가장 싸다는 이유로 계속 늘려왔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조용성 고려대학교 교수는 "우리나라는 가장 저렴한 것부터 찾는 경제급전원칙으로 석탄화력발전소를 난립해 전기를 생산해 왔다"며 "전기 단가가 다소 비싼 LNG 발전소는 발전소가 있음에도 가동률이 낮은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또한 "실제 발전소 가동률을 보면 원자력발전은 97~98% 등 거의 풀가동 수준이고, 석탄화력발전소도 2015년기준으로 가동률이 91%에 이른다"며 "LNG 발전소의 가동률은 현재 50% 수준에도 못미치고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정부는 올해 3월 전기사업법 개정을 통해 전기를 발전할 때 경제성 뿐만 아니라, 환경성과 국민의 안전까지 종합적으로 고려하도록 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개정안에 '명확한 기준'과 '적용 시기' 등 구체적 내용이 없다"며 "새 정부가 노후석탄화력발전소 셧다운을 지시한 만큼, 세부적인 정책도 하루빨리 마련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편 최근 LNG발전소 가동으로 인한 환경적 성과가 경제적가치로 환산돼 주목받은 바 있다. 

올해초 유승훈 서울과기대 에너지환경대학원장이 발표한 '국가 에너지시스템에서의 열병합발전 역할' 연구보고서에 따르면, LNG발전의 환경성은 에너지절감 효과와 온실가스 및 미세먼지 저감효과 등을 화폐적 가치로 환산했을 때 연간 9조원에 이른다.

이 보고서는 '한국지역난방공사 CHP(열병합발전기)+발전자회사 CHP'와 개별난방보일러+대체발전기'의 열·전기 생산량 및 연료사용량, 오염물질 배출량 등을 비교 분석했다.

특히 미세먼지·초미세먼지 저감에 따른 경제적가치는 8조3158억원에 이르고, 온실가스와 대기환경개선효과 에너지 절감 효과 등을 모두 포함했을 때 전체 사회적편익은 9조2074억원에 달했다.


hypark@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