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부처별 대책 '중구난방'…종합적 대책 마련해야

바다사막화 일명 '백화'현상으로 해조류가 사라지고 황폐해진 바닷속 [사진=환경TV DB]

 


제주도와 동해·남해 연안에서 '바다사막화(갯녹음)' 현상이 이미 44%가량 진행된 것으로 드러나 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일고 있다. 특히 바다사막화는 한 국가에 국한된 문제가 아닌만큼 국제적 공조를 위해 정부 차원의 종합대책 마련이 시급하다는 주장이다.

바다사막화는 갯녹음 또는 백화 현상이라고도 불린다. 해양산성화로 유용한 해조류들이 감소하고 그 자리에 석회조류가 대량 번식하면서 연안의 바위표면이 백색 또는 홍색으로 변하는 현상이다. 이는 어류 산란장 부족을 비롯해 어획자원의 감소 등 해양 생태계 파괴로 이어진다.

박수진 한국해양수산개발원 부연구위원은 "바다가 수만톤의 온실가스를 흡수해주고 있기 때문에 우리가 숨을 쉬고 있다"며 "해양산성화가 진행되면 이산화탄소를 예전만큼 흡수해주지 못하고 결국 산호초는 사라질 것"이라고 경고했다. 

박 연구위원에 따르면 바다사막화 문제를 비롯한 해양 환경문제는 지구촌 차원의 대책이 필요한 만큼 국제 협약에서 중요하게 다뤄지고 있다.

196개 당사국이 참여하고 있는 유엔 생물다양성 협약(CBD)에서는 '2020 아이치 목표'를 통해 해양환경 이슈의 대응 방향을 제시하고 있다. 바다사막화를 비롯해 지속가능한 어업, 해양쓰레기 이슈 등 생물다양성의 지속가능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또 유엔 산하 국제해사기구(IMO) 런던의정서는 바다에 버릴 수 있는 물질을 규정하고 있다. 해당 물질들은 유출될 경우 많은 양의 이산화탄소가 유출될 수 있는 만큼 안전성을 전제로 허용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3면이 바다로 둘러싸인 만큼 해양 환경 이슈가 많아 활발한 국제적 공조가 시급하지만 국제협약 대응 관련 문제에 대해 부처별 정책이 제각각이라 체계적 대응이 어렵다. 반면 미국이나 영국의 경우 해양산성화를 국가적 프로그램으로 운영하며 관련부처들이 공동예산으로 다년간 프로젝트를 진행중이다. 

바다숲 조성사업 [출처=한국수산자원관리공단]

 


바다사막화 문제도 환경부와 해양수산부를 비롯해 국토교통부, 산업통상자원부 등 각각 소관 부처가 달라 대책 논의가 중구난방으로 이뤄지고 있는데다 아직 정확한 원인조차 규명되지 않고 있어 종합적인 대응이 시급하다는 것.

해양수산부는 2001년부터 기후변화대응 해양수산부문 종합대책을 수립해 바다숲 조성 등을 추진하고 있다. 하지만 매년 바다사막화가 진행되는 면적은 평균 1200㏊로 바다숲 조성 면적보다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박 연구위원은 "부처가 개별적으로 대응할 경우 가장 피해를 보는건 바다"라며 "문제가 커지기 전에 예방하려면 부처간 공동 대응대책이 필요한 만큼 하나의 주제를 잡고 취약성 등 여러 부분에 대해 노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병옥 기후변화행동연구소장은 "아무리 많은 노력을 해도 원전에서 온배수가 들어오거나 중국 등에서 유해물질을 배출하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며 "우리만의 문제가 아닌것은 분명하지만 앞서 우리가 먼저 제대로 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fly1225@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