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0일 열린 산업통상자원부 국감에서는 신규 원전인 신고리 5,6호기 부지의 활성단층 여부가 화두였습니다. 그런데 한국수력원자력이 정부의 조사결과까지 부정하면서 지진으로 인한 위험성을 은폐하려 한다는 의혹이 일고 있습니다. 박혜미 기잡니다.

경주 지진 이후 신규 원전인 신고리 5, 6호기 부지 안전성을 두고 산자위 국감에서 의원들의 질타가 이어졌습니다. 의원들은 정부와 한수원의 안일한 대응책을 비판하며 공사를 중단하고 정밀조사에 나서야 한다고 촉구했습니다.

INT. 김정훈 위원 /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건설허가를 받을 때 양산 활동성 단층에 대한 내용을 기재하지 않고 원안위에서 허가를 받았다.

INT. 우원식 위원 / 국회 산업통상자원위원회
세계 원전 중에서 가장 인구가 밀집된 지역에 다수의 원전이 있는게 옳은 일인가?

INT. 조석 사장 / 한국수력원자력
지금 현재 지질학계에서도 양산단층이라는 분이 있고, 홍태영 박사는 또 아니라고 했기 때문에 결론은 안 났다. 국가기관에서 판명이 나서 재검토가 필요하다고 하면 재검토 할 것.

이에 대해 환경단체들은 해당 단층이 활성단층이 아니라는 의견은 한 번도 들어본 적이 없다며, 한수원이 정부기관의 조사결과까지 부정하고 있다고 입을 모읍니다.

INT. 양이원영 처장 / 환경운동연합
신고리 5, 6호기 부지는 활성단층으로 알려져 있는 일광단층에서 10km도 안 떨어져 있다. 지질학계에서는 활성단층을 일반적으로 제4기 단층으로 부르고 있는데 정의를 따로 하지 않으니까 미국 기준과 같은 의미로 혼용해 사용하고 있다.

국민안전처의 ‘국가 활성단층 종합대책’과 소방방재청의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 지도 제작보고서’에 따르면 해당 부지 인근 단층은 4등급 활성단층으로 분류됩니다.
 
그러나 지난 6월 나온 한수원의 ‘예비안전성분석 보고서’는 두 기관의 활성단층 자료를 인용조차 않고 있어 위험성을 은폐하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일고 있습니다.

특히 국민안전처가 수립한 종합대책의 전문분과위원에는 한수원 연구소 소속 위원이 2명이나 포함됐음에도 한수원 보고서에서 전혀 다른 결론이 나와 의혹은 커지고 있습니다.

INT. 한수원 관계자
그건 연구가 아닌 활성단층의 기준을 내리기 위한 활동을 했을 뿐 보고서는 개인의 의견이 아니다.

한 달간 시간을 끌다가 수정권고 없이 원안의결한 원안위와 4일 만에 보고서를 내놓은 한수원.
두 기관끼리 '짜고 치는' 듯한 인상을 심어주기에 충분했다는 지적입니다.

일본 후쿠시마 원전폭발과 같은 대참사를 겪지 않으려면 활성단층에 대한 투명한 정보 공개와 원점에서 출발하는 안전성 조사가 시급해 보입니다. 환경TV 박혜미입니다.

fly1225@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