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당 100~120회 속도로 가슴압박 30회 한 후 인공호흡 2회 연속 시행


국립공원구조대가 산행 중 심장이상으로 쓰러진 산행자를 구조하고 있다.

 


올해 4월 50대 여성이 북한산국립공원 청수동암문 일원에서 산행 중 갑자기 가슴통증과 어지러움증을 호소하며 쓰러져, 신고를 받고 출동한 국립공원구조대가 심폐소생술을 실시해 구조했다. 

가슴통증과 어지러움증은 심장 이상징후다. 국립공원 내 사망사고 절반은 심장돌연사로 조사돼 가을철 산행에 주의가 요구된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이사장 박보환)은 일교차가 커지는 10월~11월 사이 심장돌연사의 위험이 높아 가을철 국립공원을 산행할 때 탐방객들의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3일 밝혔다.

2011년부터 2015년까지 5년간 국립공원 내에서 발생했던 사망사고 115건 중 심장돌연사는 58건으로 약 절반에 달한다.

특히 10월과 11월에 발생한 사망사고 26건 중 심장돌연사는 15건이다.  

공단은 연중 일교차가 가장 큰 단풍철에는 신체가 갑작스런 기온 변화에 적응하지 못해 심장돌연사 위험이 평소보다 높아진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산행 중 심장돌연사 예방을 위해 사전에 심폐소생술을 숙지하고 산행에 나서면 불의의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심폐소생술 순서 및 자동제세동기 사용법

 


심정지가 발생했을 때 목격자가 바로 심폐소생술을 실시하면 생존율을 80% 이상 높일 수 있다.

그러나 심폐소생술 등 조치를 취하지 못하고 4분만 지나도 생존율이 50% 미만으로 떨어진다.

질병관리본부의 심폐소생술 가이드라인에서 제시한 심폐소생술 순서는 ① 환자반응 확인 ② 119 또는 국립공원사무소에 신고 ③ 호흡확인 ④ 가슴압박 ⑤ 인공호흡 순이다.

가슴압박을 1분당 100~120회 속도로 30회를 한 후 인공호흡 2회를 연속으로 시행하면 된다.

인공호흡 방법을 모르거나 인공호흡을 꺼리는 구조자는 일반적인 심폐소생술과 달리 가슴압박만을 시행하는 가슴압박소생술을 하도록 권장하고 있다. 

심폐소생술을 시작하면 환자의 호흡이 돌아오거나 구조대가 도착할 때까지 계속해야 한다. 

혼자 하기엔 체력적 소모가 커 심폐소생술을 익힌 2~3명의 사람들이 교대로 시행하는 것이 좋다. 

공단은 가을 단풍철을 안전하게 즐기기 위해서는 출발 전에 반드시 자신의 체력과 건강상태에 맞는 탐방로를 선택하고 스트레칭 등 충분한 준비운동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평소 산행을 즐기지 않고 단풍만을 보고자 고지대를 목표로 산행을 하면 사고로 이어질 위험이 매우 높기 때문에 국립공원별 저지대 탐방명소를 찾는 것이 좋다.

특히 당뇨 또는 심혈관계 질환이 있거나 고령인 경우 둘레길 등 수평탐방로 이용이 권장된다. 

김경출 안전방재처장은 “심장마비를 발견한 동반자가 심폐소생술을 시작하면 생존율이 높아지기 때문에 심폐소생술을 평소에 숙지하는 것이 좋다”며 “산행 전에 각 국립공원 사무소의 심폐소생 교육 실습을 받아보길 바란다“고 말했다.
 

quqdass@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