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PG 차는 친환경 연료 사용으로 미세먼지를 줄일 수 있는 가장 현실적인 대안으로 알려져 있다. 

게다가 우리나라 LPG차 관련 기술력은 세계가 부러워할 정도의 수준이다. 

한국의 LPG 차 기술은 2004년 세계 최초로 3세대 LPi 엔진 상용화에 성공했고 4세대 엔진도 상용화가 임박해 있는 등 세계를 선도하고 있다. 인프라 역시 전국 곳곳을 다녀도 불편함이 없을 정도로 충선시설과 정비시설이 잘돼 있다. 

그런데 이같은 유리한 조건들이 활용되지 못해 유명무실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우리나라 LPG 차는 액화석유가스 안전관리 및 사업법에 묶여있다. 해당 법에 따르면 산업통상자원부장관이 LPG의 수급, 사용상의 안전관리, 공익상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자동차 또는 사용자에 대해 LPG를 연료로 사용하는 것을 제한할 수 있다. 이에 LPG차는 일반인이 승용차로 LPG 차를 사용할 수 없고 택시, 장애인·국가유공자, 하이브리드·경차·RV 등 일부 계층 및 차종만 사용토록 돼있다.  

미세먼지 등 대기 환경문제가 이슈화되자 지난 6월 국회 환노위 회의에선 LPG 차 규제 완화에 대해 언급한 적이 있다. 하지만 산업부 등 정부는 세수를 문제 삼아 규제완화를 반대했다. LPG에 붙는 유류세가 휘발유의 50% 수준에 불과, 판매규제를 풀어 LPG차량이 늘어날 경우 그만큼 세수가 줄게 되는 것을 우려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결국 LPG 차량 규제완화는 대통령 지시사항으로 이뤄진 '특단의 미세먼지 대책' 마련에서 처음부터 배제됐다. 

산업부 뒤엔 정유업체들도 있다. 정유업체들은 에너지 안보를 언급하며 정부를 지지하고 있다.  업체들은 경유의 경우 국내에서 100% 생산이 가능하지만 LPG는 수입이 60%에 달해 에너지 안보 측면에서 불리하다고 주장한다. 

또 미세먼지 문제는 경유차 등 디젤엔진의 문제이기보다 발전소나 공장 배출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하지만 LPG차 규제를 풀어 차량 보급이 늘어났을 때 가장 먼저 타격을 입는 곳이 휘발유 판매가 줄어드는 정유업체라는 사실을 감안하면 에너지안보를 걱정하는 그들의 목소리에 의구심이 인다. 

현재 자동차 등 수송 부문에선 정유사와 LPG, 전력회사가 각축전을 벌이는 양상이다. 결국 돈 때문에 대기질을 개선할 수 있는 LPG 차의 보급 확대가 막혀있는 셈이다.    

정부는 미세먼지 감축을 위해 2020년까지 전기차 25만대를 보급하겠다는 친환경 대책을 내놓았다. 여기에는 충전 인프라 구축과 구매유도를 위한 보조금 지급 등 천문학적인 예산이 투입된다. 

물론 전기차 보급도 필요하지만 가장 손쉽고 저렴한 LPG차를 외면하고 굳이 거대 규모의 예산이 들어가는 전기차 확대를 대기질 개선 대책으로 들고 나왔는지 수긍이 가지 않는다. 

정부는 지금부터라도 LPG차 보급 확대에 대한 진지한 고민에 나서야 한다. 

hypark@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