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현우 국토환경연구실장, "효과적·저비용 빅데이터 마련 가능" 주장

[사진=환경TV]

 


자연환경을 지키고 생물다양성을 지키기 위한 모니터링에 '시민과학' 개념을 도입, 정책 지원에 나서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시민과학은 시민이나 지역 전문가·NGO, 지역 주민의 역할로, 생태모니터링에 이들을 참여시키자는 의미다. 

특히 현행 정부 중심의 자연환경 모니터링 방식에서는 모니터링 대상이 일부에 집중되어 있어 사각지대가 발생하고 있는 만큼 전반적인 환경변화를 모니터링하기 위해서는 시민단체와 지역사회의 참여를 이끌어내기 위한 시민과학 활동 지원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이현우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국토환경연구실장은 26일 국회에서 열린 환경부문 쟁점과 과제 심포지엄에서 "정부 중심으로 소속 학자들이 관심사나 특정 지역 위주로 조사가 이뤄지다보니 그 지역 이외의 데이터가 없었다"며 "기존 방식이 잘못됐다기보다 범위의 문제"라고 말했다.

이 실장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제주도의 경우 1989년 외곽지역의 초지가 2009년 대부분 농지로 확대되는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났다. 이처럼 생태계, 군락, 서식지 위주의 조사 뿐만 아니라 농지와 시가지 등 모든 생태계 유형 변화에 대한 모니터링이 필요하다는 것.

현재 우리나라는 환경부와 해수부, 국립생태원, 국립생물자원관, 국립공원관리공단 등이 조사 주체가 되어 목적별, 기관별 조사가 이뤄지고 있다. 시민과학의 형태로는 바이오블리츠(BioBlitz)와 한국 생물다양성 관측 네트워트(K-BON)등이 있다.

바이오블리츠는 세계적인 생물종조사 행사로 생물분야의 권위자들과 일반인들이 모여 일정 지역에서 하루가량 생태탐방에 나서 확인 가능한 생물종들을 찾아 목록으로 만드는 참여형 시스템이다. 

K-BON은 국립생물자원관의 연구자가 준 전문가들과 협력해 DB시스템을 구축, 운영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이다. 할당된 지역에서 모니터링 지표종을 대상으로 하며 기후변화 지표생물 100종에 대해 자기 고장에서 어떻게 변화하는지 등을 조사하는 형태다.

민간 차원에서는 집단지성을 기반으로 하는 앱 '모야모'가 있다. 20만명 이상이 가입되어 있으며 자기가 사진을 찍어 올리고 어떤 종인지를 묻거나 알려주는 방식이다. 최근에는 포털서비스 다음에서 꽃검색 기능을 선보이기도 했다. 이름을 알 수 없는 꽃을 찍어서 앱에 놓으면 확률상 가장 비슷한 꽃을 알려준다.
다음의 꽃검색 서비스 [출처=다음]

 


이처럼 다양한 방식으로 모니터링이 이뤄지고 있지만 자료간 공유와 공개, 정책활용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시민 등 준전문가들의 자발적 참여로 효과적·저비용의 빅데이터를 생산, 수집할 수 있는 체계가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다.

해외의 경우는 체계적인 시스템을 갖춘 시민과학 활동이 이뤄지고 있다. 

유럽연합의 경우 수십만명의 시민 활동가들이 활동중이다. 이들은 좀 더 정확한 조사 DB구축을 위해 예를 들어 나비종류를 발견하면 식별 어플을 활용, 나비의 크기, 무늬 등 세분화된 관련 정보를 입력한다.

일본은 지난 100여년간 1000여개 지점에 대해 유형별·종별 조사가 진행되고 있다. 조사는 전문가와 비전문가로 나뉘어 이뤄지며 조사된 DB는 정부 관리 플랫폼과 세계생물다양성정부구기구(GBIF)에 게시된다.

이 연구원은 해외의 경우처럼 정부와 민간의 역할이 다른 만큼 그에 맞는 방식으로 조사활동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예를 들어 한 지역에 서식하는 바다거북조사의 경우 지역 이장이나 시민자원봉사자들이 모니터링을 하고 정보를 올리지만 고산지대 조사의 경우 정부와 민간 합동조사 방식으로 진행되기도 한다.

시민과학 활동에 필수적으로 수반되어야 하는 점은 효율적인 조사 DB 등록, 관리를 위한 플랫폼 구축과 관련 연구개발 활동이다. 현재 단순 사진 비교 방식은 한계가 있는 만큼 DB입력 정보의 세분화와 이를 취합·관리하는 공유 플랫폼 구축이 시급하다.

이 연구원은 "우리나라는 부처별로 플랫폼이 따로 있어 통합이 어렵고 민간은 정부 통제가 없어 통합할 수 있다"며 "일본은 공공 플랫폼이 있는데 우리는 민간이 플랫폼 서비스를 하고 있다는 점도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예를 들어 정부3.0앱은 민간의 정보를 공공에 활용하는 방식이지만 시민과학은 민간의 개인정보를 통해 공공정보를 만드는 것"이라며 "시민과학 활동을 지원하는 법 제도와 기반 구축을 위한 연구개발, 생물다양성교육을 통한 인력 양성 등의 정책 지원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fly1225@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