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배 박사 ‘지속가능한 지하수, 전문기술인력 400명 이상 필요’ 강조

 

 

[환경TV제주=고현준 기자] 제주 지하수를 체계적으로 관리 보전하기 위해서는 400명 이상의 전문기술인력이 필요하며, 이를 위한 인적자원개발센터 설립이 시급하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18일 제주발전연구원(제발연)의 박원배 선임연구위원은 '제주도 지하수 관리 인적자원개발 방안 연구'를 통해 제주도의 특수성과 국제자유도시의 발전 역량을 고려한 지하수 통합관리체계와 복합산업화를 선도할 전문기술인력 양성체계 구축이 시급하다고 분석했다.

박 선임연구위원은 단계별·수준별 인적자원개발체계 구축을 단계별로 추진해야 한다고 밝혔다. 1단계(2017~2020년)는 제주지역 지하수 관련 공공기관과 민간기업 재직자를 중심으로 한 교육훈련연수체계를 구축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2단계(2021~2025년)는 지하수 통합관리체계 구축과 지하수 측정망 관리 및 수질관리 모니터링의 과학화·선진화 단계이며, 3단계(2025~2030년)는 전자태그(RFID)/유비쿼터스 센서 네트워크(USN), 데이터베이스, 지리정보시스템(GIS)/위성위치확인시스템(GPS)에 기반을 둔 IT융합기술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연구를 통해 2020년 기준 제주지역 지하수 용수수요를 기준으로 지하수 관리 소요인력을 산정한 결과 특급기술인력은 21.5명, 고급기술인력은 86.1명, 중급기술인력 150.7명, 초급기술인력 172.2명 등 총 430.5명의 지하수 관리 전문기술인적자원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됐다.

또한 영역별로는 지하수 관리 이용영역에 301.4명, 지하수 정보화기반 확충영역 64.6명, 지하수 복합산업화 영역 64.6명이 필요한 것으로 추정했다.

특히 전문가가 부족한 가운데 공공기관 및 민간기업 재직자에 대한 역량 강화가 필요한 만큼 지하수 관리 공공기관 및 민간기업 재직자를 대상으로 한 교육·훈련·연수체계 구축, 수요대응형 전문기술인력 양성, 지하수 관리의 선진화·과학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박 선임연구위원은 이를 위해 '제주특별자치도 수자원관리종합계획' 수립 시 지하수 관리 인적자원개발 영역을 계획에 포함하는 등 관련 규정에 대한 보완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아울러 민간부문인 지역 기업을 대상으로 인허가 조건에 일정시간의 교육이수 규정을 제주도 조례로 규정하는 방안과 자율적인 참여 유도를 위해 각종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 공정별·영역별·수준별 인적자원개발 프로그램을 운영해야 한다고 밝혔다.

박 선임연구위원은 "지하수 관리와 융복합산업화를 선도할 전문기술인력 양성체계 구축을 위해서는 단기적으로 제주발전연구원 부설 수자원연구센터를 설립하고 산하에 지하수 관리 인적자원개발센터를 두어야 한다"며 "중장기적으로는 제주도 수자원연구원을 재단법인 형태로 설립하고 산하에 인적자원개발센터 설치방안을 검토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제주도에 수자원 관련 수자원 빅데이터를 만들려고 해도 전문인력이 부족하다"며 "그간 덮여져 왔던 누수율 문제 등이 정상화 되면 제주도에 인구가 늘어나도 생활용수 부분에 문제는 없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다.

박 선임연구위원은 "공직자들에 대한 기본교육부터 시작해 그간 문제가 됐던 광역상수도 문제 등이 앞으로 추진되는 농업용수 광역화 사업에서는 다시 문제가 되지 않도록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kohj007@naver.com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