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예산 130억 원 들여 다음달 말까지 전체 유통 생활 제품 80% 조사키로

P&G의 섬유탈취제인 '페브리즈'는 최근 유해성 논란에 휘말렸다. 사진=환경TV DB

 


가습기살균제 사태로 화학물질을 사용한 제품에 대한 국민들의 불신이 커지는 가운데 정부가 LG생활건강, P&G, 헨켈 등 국내 생활 화학 제품 시장을 대표하는 기업들의 제품을 포함, 유통 제품 전반에 대한 점검 계획을 내놨다.

조사 예산만도 130억 원. 이를 통해 내년 말까지로 계획한 조사 기간 동안 인체에 유해한 화학물질을 사용한 제품이 있는 지를 꼼꼼히 점검할 계획이다. 특히 국내 생활 화학 제품 시장의 80% 정도를 차지하고 있는 6개 회사가 주요 점검 대상이다.

환경부는 다음달 말까지 생활 화학 제품을 수입·제조하는 업체 8,000여 곳으로부터 '살생물질'의 종류 등과 관련한 자료를 모두 제출받을 계획이라고  진행하겠다고 24일 밝혔다. 살생물질이란 생물에게 어떠한 형태로든 피해를 입힐 수 있는 물질을 말한다. 가습기살균제 물질인 PHMG 등이 대표적이다.

대상이 되는 제품군은 일단 환경부가 지정한 15종의 위해 우려 제품이다. 여기에는 페브리즈와 같은 방향제나 최근 가습기살균제 물질이 포함된 제품이 적발된 탈취제 등이 포함된다.

다음달 말까지 관련 자료 일체를 제출받고 나면 본격적으로 각 제품 별로 문제가 없는 지에 대한 '위해성 평가'가 진행된다. 환경부는 우선적으로 국내 시장의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는 6개 기업 제품을 대상으로 하겠다는 입장이다.

우선 점검 대상 기업은 ▲LG생활건강 ▲P&G ▲헨켈 ▲애경 ▲CJ Lion ▲옥시레킷벤키저다. 

환경부 관계자는 "대기업에서 나오는 제품들이 유통되고 있는 생활 화학 제품 가운데 80%를 차지하고 있기 때문에 우선적으로 조사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조사 방식은 차별화할 예정이다. LG생활건강 등 5개 기업과는 '공조'의 형태를, 검찰 수사를 받고 있는 옥시의 경우는 공조 없이 환경부 차원에서 독자적으로 검사를 진행한다.

LG생활건강에서 나온 섬유탈취제 '샤프란케어'. 사진=환경TV DB

 


전수 조사 대상은 내년도에 더욱 확대할 계획이다. 환경부는 내년도부터 위해 우려 제품으로 지정한 15종 외에 살생물질을 포함하고 있는 생활 화학 제품이나 공산품 및 전기용품 등도 조사하겠다는 계획을 세웠다.

일례로 에어컨·공기 청정기 항균 필터 등에 조사 대상에 포함될 예정이다. 

아울러 제품 자체에 살생물질이 없더라도 제품 용기나 포장재 등에 살생물질이 사용되지는 않는 지 여부도 조사한다.

홍정섭 환경부 화학물질정책과장은 "살생물질 전수 조사는 내년 말까지 완료할 예정이지만 조사 과정에서 중대한 위해성이 의심되는 경우 위해성 평가를 함께 해 위해 우려 제품에 포함하거나 안전 관리 기준을 별도로 설정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환경부는 이같은 계획과 관련, 오는 25일 오전 10시 30분부터 서울역 LW컨벤션센터에서 기업들을 대상으로 생활 화학 제품 내 살생물질 전수 조사와 안전성 검증을 위한 설명회를 개최한다. 

bakjunyoung@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