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포커스뉴스

 


국민의당 김한길 의원이 야권 연대를 성사시키지 못한 데 따른 책임을 지겠다며 20대 총선 불출마를 17일 선언했다.

김 의원은 이날 "저는 작금의 정치상황에서 집권세력의 압승이 불러올 끔찍한 상황을 막아내고, 동시에 우리 당이 수도권에서도 의석을 확장하기 위해서는 당 차원의 야권연대가 필요하다고 주장해왔으나 이를 성사시키지 못한 데에 스스로 책임을 물어 20대 총선에 출마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다. 

김 의원은 이에앞서 지난 11일 국민의당 상임선대위원장직을 내려놓는 배수진을 치며 안 대표를 상대로 야권연대를 압박했다. 

하지만 안 대표는 김 의원의 상임선대위원장 사퇴 카드를 수용하며 김 의원과 다른 길을 가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고, 당내에서 함께 야권연대를 주장했던 천정배 대표도 기존 입장을 철회하고 당무에 복귀하면서 김 의원은 당내에서 고립되는 모양새가 됐다. 

국민의당이 당 차원의 야권연대는 없다는 점을 분명히 함으로써 야권연대를 명분으로 상임선대위원장 사퇴라는 초강수 카드가지 꺼내 든 김 의원으로선 자신의 의견이 받아들여지지 않았다고 입당한지 얼마 되지도 않으 국민의당을 다시 탈당할 수도, 그렇다고 야권연대가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에서 총선에 출마할 수도 없는 명분도 없는 외통수에 몰리게 된 셈이다.

거기다 김 의원의 지역구인 서울 광진갑 사정도 녹록치 않다. 더불어민주당이 이미 전혜숙 전 의원을 공천한 상태에서 야권연대라는 명분을 잡시 접고 김 의원이 출마를 강행한다고 하더라도 일여다여 구도 속에처 치뤄질 선거에서 당선을 장담할 수 없기 때문이다.

결국 야권연대를 주장하다 연대가 무산된 상태에서 20대 총선에 출마했다가 낙선하기라도 한다면 명분도 실리도 한꺼번에 잃을 수 있기 때문에 총선 이후를 염두에 두고 20대 총선 불출마 선언을 하게됐다는 것이 정치권의 대체적인 분석이다. 

일단 실리는 잠시 미뤄두고 명분만이라도 확실히 챙겨 놓겠다는 것 아니겠냐는 것이다. 

이와관련 정치권에선 김 의원이 '야권연대'라는 명분을 놓치 않고 총선 불출마까지 했다는 점을 내세워 총선이 끝난 뒤 야권이 재편되는 과정에서 일정한 역할을 하지 않겠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이와관련 김 의원측 관계자는 "김 의원 본인은 불출마 선언을 했지만 총선 과정에서 도울 일이 있으면 도우면 되는 것이고, 총선 뒤에는 대선을 앞두고 있으니 김 의원의 역할이 있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yu@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