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TV뉴스]박현영 기자=연안 바다의 오염물질을 관리하는 제도인 '연안오염 총량관리제도'가 시행된지 10주년이 된 가운데, 제도 시행 후 연안 오염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연안오염 총량관리 제도는 바다로 배출되는 생활하수, 산업폐수 등 오염물질을 농도가 아닌 배출 총량을 기준으로 통제하는 방식이다. 

이 제도는 폐쇄적인 만(灣) 구조를 가지며 배후지역이 고밀도로 이용되고 있는 연안해역 중 오염이 심한 해역을 대상으로 시행된다.

해외의 경우, 1970년대 후반부터 일본, 미국 등 주요 국가에서 진행되고 있고 우리나라는 지난 2005년 마산만을 시작으로 2013년 시화호, 올해 10월부터 부산 수영만에 도입됐다.

이 제도가 시행되고 있는 국내 5개 특별관리해역은 국토면적의 1.26%(1263㎢)에 불과하나, 전체인구의 16.1%(약 820만명)가 살고 있어 인구밀도는 전국평균보다 9.25배(4568명/㎢) 높은 지역이다.

출처=해양수산부

 


마산만은 1966년 봉암동 지역 습지와 해안을 매립해 국가산업단지와 아파트 등이 들어서기 시작했고, 여기서 배출되는 생활하수와 산업폐수 등으로 인해 오염이 시작됐다.

이후 1975년 가포해수욕장이 폐쇄됐고 1979년에는 어패류 채취 금지, 1981년에는 대규모 적조가 발생하면서 마산만은 '죽음의 바다'로 변했다.

오염된 마산만의 수질개선을 위해 2005년 연안오염 총량관리제도를 도입해 2008년부터 지난해까지 총 2534억원을 투입했다. 

그 결과, 마산만 수질은 화학적산소요구량(COD) 기준, 공업용 냉각수 수준인 2.59mg/L에서 1.7mg/L으로 개선된 것이 확인됐다.

멸종위기 야생동물 2급인 붉은발 말똥게와 수달의 서식이 확인되는 등 생태계도 점차 회복되고 있으며 2011년에는 봉암갯벌 습지보호구역으로 지정해 보존하고 있다.

방조제 건설 후 '죽음의 호수'로 불렸던 시화호도 2013년부터 연안오염 총량관리제도를 도입해 수질이 개선되고 있다.

시화호는 2010년 COD기준 3.51mg/L으로 조사됐으나 지난해 2.99mg/L로 개선됐다. 

이에 시화호는 갈대습지공원을 조성할 수 있게 됐고, 공원에 금개구리, 맹꽁이 등이 서식하기 시작하면서 연간 25만 명 이상이 찾는 생태관광 명소로 변모했다.

부산의 명물 해운대와 광안리 해수욕장이 위치한 부산 수영만 해역도 총량관리제가 지난 10월부터 도입됐다.

해양수산부와 부산시는 오는 2019년까지 수영만으로 유입되는 일일 오염물질량(현재 20톤)의 25%(5톤)를 감축해 2034년까지 수질을 1등급(1.0mg/L) 수준으로 개선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수영만 해역의 8개 구·군에 하수관거 정비(366.8km), 비점오염저감시설 설치(26,200㎥), 우수저류조 신설․개선(87,800㎥) 등에 2019년까지 총 5819억원을 투자할 예정이다.

출처=해양수산부

 


해수부는 16일부터 2일간 창원시에서 연안오염 총량관리 시행 10년을 맞아 그간의 성과를 평가하고 미래 발전방향을 모색하기 위한 국제 컨퍼런스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이번 행사는 국내외 전문가와 지역사회 대표 및 시민단체 등 300여명이 참여해 10주년 기념식, 학술행사, 바다사랑 인형극, 현장답사 등 다채로운 프로그램으로 진행될 예정이다.

송상근 해수부 해양환경정책관은 "해양환경 개선정책은 지역 사회의 참여가 성공의 관건"이라며 "이번 컨퍼런스를 계기로 연안오염 총량관리 제도의 미흡한 부분을 보완하겠다"고 밝혔다.

해수부는 2017년 울산연안, 2019년 광양만으로 연안오염 총량관리제도를 확대할 예정이다.

한편 이번 국제 컨퍼런스 개최를 앞두고 5개 해역별로 구성된 민관산학 협의회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다. 

정부, 지자체, 학계, 기업 및 시민단체로 구성된 이 협의회는 '연안오염 총량관리제도'의 목표수질 및 감축 목표량 설정, 오염저감 사업계획 등을 협의·조정하는 기구이다.  

전문가들은 협의회를 통해 지역사회의 의견을 반영하고 이해관계자 간 갈등관리 및 시민들의 자발적 참여를 통해 정책의 성공확률을 높이고 있다고 평가하고 있다.

출처=해양수산부

 


hypark@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