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I "초미세먼지(PM2.5)가 조기 사망에 영향"

연기를 내뿜고 있는 화력발전소 모습. (자료사진)

 

[환경TV뉴스] 신준섭 기자 = 산업통상자원부는 박근혜 정부 초기인 2013년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통해 2027년까지 28곳의 화력발전소를 짓겠다고 발표했다. 석탄화력발전소와 액화천연가스(LNG)화력발전소를 포함한 값이다.

지난 7월 발표한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이 수치는 더 늘었다. 2029년까지 34곳의 화력발전소를 지어야 한다는 게 산자부의 선택이다. 이 기간 동안 노후화한 화력발전소가 폐쇄되거나 같은 부지에 다시 발전소를 짓는 등의 변수가 있기는 해도 화력발전 규모는 점점 더 늘게 된다.

이렇게 화력발전을 많이 건설하는 이유는 우리가 향후 필요로 하는 전기가 점점 더 늘어난다는 '전력 수요 전망'에 기인한다.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만 놓고 본다면 올해 기준 49만 8,000GWh인 국가 전력 수요는 14년 후인 2029년에 76만 6,109GWh로 늘어난다. 약 1.5배 정도 느는 셈이다.

문제는 이렇게 많은 화력발전소를 지었을 때 우리들에게 어떤 영향이 미치는 가다. 화력발전소는 석탄이나 석유, 액화천연가스 등 화석연료를 태워 전기를 생산하는데, 이 과정에서 달갑지 않은 부산물이 나온다. 바로 국민들의 건강을 위협하는 '초미세먼지(PM2.5)'와 '오존(O₃)'이다.


화력발전소 52곳 운영하면 연간 1,100여 명 조기 사망
초미세먼지 농도 증가로 호흡기 질환 영향 미쳐

10일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KEI)이 발표한 연구 자료를 보면 제6차 전력수급계획에 따라 화력발전소를 건설할 경우 2027년이면 연간 국내 조기사망자 수가 1,100여 명이 늘어 난다. 배출되는 초미세먼지량이 그만큼 늘어나기 때문이다.

연구원 보고서에 따르면 전체 화력발전소에서 배출될 초미세먼지는 최대 24.56㎍/㎥이다. 이는 하루 평균 초미세먼지 기준치인 50.00㎍/㎥의 약 절반에 해당하는 양이다. 다른 원인으로 발생하는 초미세먼지에다가 이만큼의 부담을 더 지우게 된다는 얘기다.

초미세먼지는 미세먼지보다 4분의 1이상 작은 크기로, 머리카락의 20분의 1 정도인 작은 입자다. 코에서 일정 부분 걸러지는 미세먼지와 달리 폐 속 깊은 곳까지 침투한다. 그만큼 폐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특히 장기적으로 지속 노출될 경우 폐기종, 천식 등의 호흡기 질환을 유발한다는 게 학계에서 일반화된 정설이다. 아이들이나 고령자층, 호흡기 질환자 등은 일반인보더 더 큰 건강 영향을 받을 가능성이 높다. 초미세먼지 양이 늘어날 수록 그 영향은 더 커진다.

미세먼지 인체 영향 모식도. 출처=환경부

 

이같은 상황을 반영, 연구원 보고서는 미국 환경보호청(EPA)에서 개발한 조기사망자 수 산출 모델에 화력발전의 영향을 대입했다. 그 결과 매년 1,144명이 조기 사망한다는 결과가 도출됐다.

여기에 발전소 내구연한인 30년을 대입해 본다면 3만 4,320명의 조기사망자가 예고된다.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을 그대로 추진할 경우의 수치다.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의 문난경 연구위원은 "석탄화력, 액화천연가스화력 등의 여부에 상관 없이 화력발전소를 더 지을 수록 그만큼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초미세먼지는 더 늘어날 수밖에 없다"고 설명했다.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추진 시 화력발전으로 인해 늘어나는 초미세먼지 기여도. 출처=KEI

 

폐손상 유발하는 '오존' 농도도 늘어나
'청정' 강원지역 특히 영향 더 커

화력발전의 영향은 여기서 그치지 않는다. 보고서에 따르면 오존의 증가에도 만만찮은 영향을 미친다. 오존은 비록 농도가 낮더라도 사람이 흡입하면 가슴통증, 기침, 메스꺼움, 인후자극, 충혈과 같은 다양한 건강문제를 야기하는 물질이다.

현재 운영 중인 화력발전소에 신규 예정 화력발전소까지 합하게 되면 최대 94.26ppb의 오존이 증가한다고 보고서는 밝히고 있다. 이는 8시간 평균 환경 기준치인 60ppb의 약 1.5배에 해당하는 양이다. 화력발전만으로도 기준치를 넘어선다는 얘기다.

특히 강원도 지역의 피해가 가장 클 것으로 보고서는 분석했다. 강원도의 경우 앞에서 산출한 값에다가 최대 11.74ppb가 더 추가된다는 설명이다.

그 이유로는 강원도에 건설될 화력발전소가 타 지역보다 많다는 점이 꼽혔다. 제6차 전력수급기본계획 상 강원도 지역에 예정된 화력발전소는 모두 10곳이다. 제7차 전력수급기본계획에서 2곳이 취소되긴 했지만 여전히 8곳이나 된다.

문 연구위원은 "강원도의 경우 최근 동해안의 대규모 산업단지와 발전소 개발이 예정돼 청정 강원도 이미지와 어울리지 않는 고농도 미세먼지와 오존 지역이 될 우려가 있다"고 분석했다.

대책은 없을까. 보고서는 개별 화력발전소를 대상으로 하는 현행 환경영향평가 대신 광역 단위의 환경영향을 고려해야 한다고 조언하고 있다.

문 연구위원은 "지역별 대기질 현황 분석을 토대로 대기오염물질의 발생량을 관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sman321@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