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보건시민센터, 질병관리본부 보고서 분석 추산

(자료사진)

 

[환경TV뉴스] 신준섭 기자 = 1,034만여 명의 서울 인구 중 184만 명이 '가습기살균제'의 잠재 피해자일 가능성이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서울 인구의 17.8%, 10명 중 1명 이상이 가습기살균제의 영향을 받았다는 주장이다.

가습기살균제에는 각종 폐질환을 유발하는 유해화학물질이 포함돼 있었다는 게 정부의 공식적인 결론이다. 가습기살균제가 1994년부터 판매 중지까지 18년간 판매돼 왔다는 점을 감안하면 서울 지역에서 가습기살균제에 영향을 직·간접적으로 받은 환자가 더 있을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

환경보건시민센터에 따르면 질병관리본부의 2011년 보고서를 근거로 추산했을 때 서울 지역의 가습기살균제 잠재적 피해자는 약 184만 명에 달한다. 2012년 한국환경보건독성학회지에 실린 '경기지역에서의 가습기와 가습기살균제 사용'이란 논문이다.

해당 보고서는 도시 거주 일반 인구의 37.2%가 가습기를 사용했으며, 18.1%는 가습기살균제를 사용했다고 밝히고 있다. 도시 거주 가습기 사용자 2명 중 1명은 가습기살균제 사용 경험이 있다는 얘기다.

보고서가 조사한 시점인 2010년 기준 전국 인구는 4,941만 명이다. 국토교통부의 도시계획현황 통계를 보면 당시 90.9% 정도의 인구가 도시에 거주했다. 이를 감안했을 때 가습기를 사용했던 인구는 894만 명 정도에 달한다.

이들 인구를 서울 지역으로 한정했을 때 이 정도의 잠재적 피해자 수치가 나온다는 게 환경보건시민센터의 계산이다.

이는 현재까지 파악된 서울지역 가습기살균제 피해자의 1만 5,000배에 달하는 수치다. 환경보건시민센터가 집계한 서울지역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는 122명에 불과하다.

실제 피해자와 잠재적 피해자의 차이가 왜 이렇게 클까. 환경보건시민센터는 그 이유를 피해자가 직접 신고한 사례만 가습기살균제 피해로 판단했다는 점에서 찾고 있다.

환경보건시민센터 관계자는 "현재 파악된 피해자는 정부나 제조사가 적극적으로 찾아낸 사례들이 아니라 소비자가 자진 신고한 경우"라고 말했다.

가습기살균제가 출시된 것은 1994년, 2011년 가습기살균제 피해가 공론화하면서 제품 판매가 중지되기까지 18년 동안 시중에 유통됐다는 점을 봤을 때 추가 피해의 개연성은 무시하기 힘들다.

실제 2011년 이전에는 원인모를 폐질환으로 인한 사망자나 환자들의 피해 원인에서 가습기살균제의 영향은 배제돼 있었다. 여기에 정부가 가습기살균제를 사용한 지 10년 정도 된 소비자의 폐암 원인을 가습기살균제로 확정 판결한 점도 주목할 부분이다.

환경보건시민센터 관계자는 "병원이나 보건소, 제품 판매장소를 중심으로 사용자와 피해자를 적극적으로 찾아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현재까지 전국적으로 확인된 가습기살균제 피해자는 모두 530명이다.

sman321@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