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수산물 어획량 10%가 '유령어업'으로 사라져

버려진 '통발'에 걸려 폐사한 해양생물들 모습. 출처=해수부

 

[환경TV뉴스] 신준섭 기자 = 사용 후 우리나라 연근해에 버려지는 어업용 그물 등 '어구'가 얼마나 될까. 해양수산부가 추정한 자료에 따르면 한 해에만도 약 4만톤가량에 달한다. 소위 해양쓰레기다.

주로 수만개씩 한꺼번에 설치, 고기가 안에 들어와서 빠져나가지 못하게 만드는 '통발'이나 가로로 길게 늘어뜨려 지나가던 고기가 그물 중간에 걸리게 만드는 '자망' 등이 그 주범이다. 사용할 땐 고기 잡아주는 소중한 '그물'이지만 버려지는 순간 해양 '쓰레기'가 된다.

이렇게 바닷속에 가라 앉은 폐그물 등의 해양쓰레기는 회수조차 쉽지 않다. 일단 누가, 어디에 버렸는지 조차 확인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해양폐기물관리법 상 이는 불법 행위이지만, 단속 인원이 없는 연안 해상 조업선에서는 비일비재하게 일어나고 있다는 게 해수부의 추정이다.

15일 해수부에 따르면 이렇게 유실된 폐어구 중 수거되는 양은 불과 15%정도로 추산된다. 산술적으로 봤을 때 약 6000톤 정도만 수거한다는 얘기다.

그나마도 정확한 자료는 아니다. 해수부가 연안어장 환경 개선사업의 일환으로 추진하고 있는 '유실·침전 어구 수거 사업'을 통해 우리나라 앞바다에서 수거하는 폐그물 등은 연간 1800톤이다.

한국어촌어항협회가 위탁해서 수행하는 이 사업 외에는 지자체나 수협 단체들이 자체적으로 하는 양을 추정한 수준이다. 정부 추산만큼 수거되는 지조차 불분명하다는 얘기다.

문제는 이렇게 버려진 어구가 다른 해양쓰레기와 달리 소중한 우리나라 어업 자원을 갉아먹는다는 점이다. 해수부는 바다 속에 가라 앉은 폐그물에 걸려 죽는 물고기 등의 해양생물이 우리나라 연간 수산물 어획량의 10%에 달한다고 보고 있다.

박신철 해수부 어업정책과장은 "바닷 속 폐어구에 해양생물이 연쇄적으로 걸려 죽는 이른바 '유령어업'으로 인한 수산업 피해는 연간 2000억원 이상일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고 밝혔다.

때문에 내놓은 대안 중 하나가 일반 그물보다 물에서 더 빨리 썩어 없어지는 '생분해성 어구'의 도입이다.

생분해성 참조기 자망으로 조업하는 모습. 출처=해수부

 

국립수산과학원이 2007년 세계 최초로 개발한 생분해성 어구는 물 속에 가라 앉으면 2년 후부터 분해되기 시작해 3년부터는 그물로서의 기능을 상실한다. 약 5년 후면 물과 이산화탄소로 분해된다. 나일론으로 만든 일반 그물이 바닷속에서 썩는 데 600년씩 걸린다는 점과 대비된다.

하지만 가격 부담이 크다는 게 단점이다. 생분해성 소재로 만든 그물은 일반 그물보다 약 2.5배 정도 더 비싸다. 어민들이 사용을 꺼리는 이유다.

이에 해수부에서는 올해 30억원과 내년도 46억원의 예산을 편성해 '생분해성 어구 보급사업'을 펼치고 있지만, 이 예산으로는 바다 속 폐그물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통발이나 참조기 자망 교체는 손도 못 대는 실정이다.

박 과장은 "약 520여척 정도의 어선이 혜택을 받는 데 이는 동해안 지역 '꽃게 자망'의 80~90%를 대체할 수 있는 수준"이라면서도 "하지만 가장 문제가 되는 통발 등의 교체는 요원하다"고 토로했다.

생분해성 수지 대체라는 대책도 중요하지만, 근본적으로는 어민들이 다 쓴 폐그물을 바다에 버리지 않도록 하는 계도가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다. 홍보나 교육 등을 통한 계도다.

해수부 관계자는 "해양 환경을 지키기 위해서는 기본적으로 어민들이 폐그물 등을 안 버리는 게 중요하다"며 "이를 위해 홍보 등 다양한 계도를 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다.

sman321@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