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권과 명운을 함께한 경영진, 왜 스스로 탈피하려 노력하질 않나?

 

[환경TV뉴스]박태윤 기자 = 포스코가 계열사 수사에 이어 본사까지 압수수색 되는 초유의 일을 격고 있다. 정권이 바뀌고 포스코 회장 교체는 늘 있었지만 전임 회장이 수사선상에 오른 건 이례적이다.

포스코 회장이 정권과 명운을 함께 한 건 최근 일이 아니다. 김영삼대통령 집권 후 외부인 출신으로 첫 회장을 맡았던 김만제 회장이 김대중 대통령 시절 물러나고 후임이었던 유상부 회장은 노무현 정권 때 이구택 회장에게 그리고 MB맨 정준양 회장에게 넘겨줘야 했다.

이렇듯 스스로 세계제일의 철강회사. 글로벌 기업이라면서도 정권이 바뀔 때마다 권력을 쫓던 몇몇의 행태가 오늘날 포스코를 '정권의 전리품' 취급받도록 한 배경이 됐던 게 사실이다. 여기저기서 어쩌다 이 지경 까지 왔는지 탄식의 소리만 높다.

그러나 이 악순환의 고리를 끊는 것도 포스코 몫이다.

직원들은  '매년 수조원의 영업이익을 내왔지만 부채비율은 꾸준히 증가 했고 유보금이 그만큼 쌓인 것도 아니다. 몇 년 새 수조 아니 심지어 수십조 원이 사라졌다. 도대체 그 돈들이 어디로 갔나?' 하며 탄식 한다.

직원들 사이에서는 이번을 기회로 앞으로는 정권과 거리를 두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스스로 밝힐 건 밝히고 자성하자는 분위기이다. 현재 수사하고 있는 내용들은 포스코가 가장 잘 알고 있다. 내부 감사를 통해 비리를 찾고, 스스로 밝히고, 수사에  협조 하고, 또 미진한 부분은 직접 고소,고발 하여야 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것이 쉽지 않다는 것이 정설이다. 그 중하나로 꼽는 것이 포스코 특유의 OB문화라고 얘기한다.

흔히들 포스코는 '주인 없는 회사'라고들 말한다. 창립자 고박태준 회장의 부재 이후 정권에 휘둘리고 잦은 경영진의 교체와 관리직이상 간부들의 퇴직 증가로 상호 배려차원에서 협력사 밎 자회사로의 밥그릇 챙겨주기가 이제는 그 도를 넘어서 이권 챙기기로 변질됐다.

전임 퇴임자에 대한 배려가 후임자들에게도 자신에 대한 배려를 강요하는 식이 된 것이다.
 
임원 승진을 못한 부장들은 퇴사하면서 외주업체 사장으로 들어가고, 다시 일정 기간이 되면 후배들에게 회사를 물려주고 은퇴하게 된다. 임원들의 경우엔 외주사보다 규모가 큰 포스코 계열회사들의 사장·부사장으로 자리를 옮긴다.

심지어는 독립된 사업장을 가지고 다른 회사와도 거래하고 있는 외주사의 경영권을 요구하는가하면 멀쩡한 회사를 토막 내어 자리를 만들어 주는 경우까지 있었다.

이러한 관행이 굳어지는 동안 전임자에 대한 비리를 파헤치거나 고소, 고발 같은 일은 곧 자신에게도 닥쳐올 일이라는 인식을 심어주게 되어 선뜻 나서지 못하게 되었다는 것이다.

평직원으로 30년 이상 근무한 직원은 “현재 포스코를 감시할 대상은 아무도 없다. 거의 모든 관리직이상 직급들의 사고가 다 똑같다. 이제는 나도 줄잘 서면 뭐든 할 수 있다는 며 스스로 정권에 빌붙는 사람까지 있다. 이런 사람들이 지금 포스코를 이 지경까지 내몰았다.” 며 한탄했다.

또 “신임회장이 들어서고 경영 혁신을 발표하고 구조조정 안을 내놓고 하지만 일반 직원들은 신경도 안 쓴다. 교대근무체계만 보더라도 하기 싫다는 거 억지로 바꿔놓고 그게 안 좋다고 또 바꾸라 한다. 현장 얘기는 전혀 듣지 않는다” 고 했다.

땅에 떨어진 포스코의 명예는 포스코 스스로가 찾아야 한다. 스스로 자성하고 잘못을 찾아내고 반성의 기회로 삼고 자기성찰을 할 수 있을 때 야 비로소 국민들의 사랑받는 국민기업으로써 거듭날 것이다.   

press@phn.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