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간 대여비와 유지 비용, 적합한 사육 시설 등 고려하면 오랜 시일 걸려

▲ 출처 플리커

 

[환경TV뉴스] 신준섭 기자 = 3일부터 1박2일 일정으로 한국을 국빈 방문하는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이 호의의 표시로 중국의 보물인 멸종위기종 '판다' 한 쌍을 한국에 대여할 계획이다. 유명한 '판다 외교'다.

◇중국의 '특별한' 판다 임대
판다는 세계자연보전연맹(IUCN)이 지정한 '레드 리스트'에 올라 있는 멸종위기종이다.

또한 멸종위기에 처한 야생동·식물종의 국제 거래에 관한 협약(CITES) 부속서 Ⅰ급으로, 연구 목적 등 특별한 경우가 아니면 국제 간 거래가 금지돼 있다.

현재 중국에서만 1600마리 안팎이 서식하고 있는 상태며, 중국 정부는 판다를 국수(國獸)로 지정하고 국외 반출을 엄격히 통제하는 중이다.

대신 외교의 수단으로 많이 활용돼 왔는데, 이 역시도 기증이 아닌 임대 형식으로 타국에 둥지를 트는 경우만을 허용하고 있다.

1972년 중·일 국교정상화 기념 차원에서 일본에 임대한 것을 시작으로 현재는 미국, 영국, 프랑스, 러시아, 캐나다 등에 임대를 한 상태다. 대부분 외교적 문제에서 임대를 검토했기에 판다 외교란 별칭이 붙었다.

주로 암수 한 쌍을 임대하는 형태며 지난해 말에는 미국 워싱턴 디씨의 동물원에 거주하는 판다 부부가 새끼를 낳아 화제가 되기도 했다.

◇한국, 역대 2번째 판다 임대…걸림돌은 유지 비용
우리나라의 경우 1994년 한·중 수교 기념으로 판다 한 쌍을 임대해 삼성 에버랜드에서 키운 사례가 있다.

하지만 1997년 IMF 사태가 벌어지면서 유지 비용을 감당 못한 삼성 에버랜드 측이 1998년에 조기 반환했다.

연간 100만달러(약 10억원)의 임대 비용과 매일 40㎏의 신선한 죽순을 중국에서 공수해 와야 하는 것 등이 부담으로 작용했다. 유지 비용만도 수십억원가량이 들어간다는 게 전문가들의 설명이다.

때문에 이번 임대 추진 역시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비용 측면의 부담을 간과하기 힘들다.

김종률 환경부 생물다양성과장은 "임대료와 함께 중국에서 수의사 1명과 사육사 2명을 데려와야 한다"며 "시설 역시 기준에 맞아야 하는 문제도 있다"고 설명했다.

때문에 국가 기관이나 민간에서도 선뜻 판다 임대를 자청하지 못하고 있다. 지난해 말 출범한 국립생태원의 경우 사육 시설 자체가 전무한 상태라고 밝혔으며, 서울대공원은 별다른 의사를 밝히지 않았다.

다만 과거 판다를 보유했던 삼성 에버랜드 측은 조심스럽게 긍정적인 의사를 내비쳤다.

김인철 삼성에버랜드 차장은 "기회가 주어진다면 예전에 길러 본 경험이 있으니 잘 키워보겠다"는 입장을 밝혔다.

이 같은 결정 과정들을 고려할 때 실제 국내에서 판다를 보기까지는 최대 수년이 걸릴 전망이다.

김종률 과장은 "해외 사례를 보더라도 적게는 수개월에서 많게는 수년이 걸렸다"며 "멸종위기종인만큼 도입 과정에 환경부와 외교부가 공조하며 일을 진행하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sman321@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