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봉서 시작되는 여자코스 건설 안하기로…30%가량 훼손률 줄어
경기장 사후 활용 방안 등에 대해선 조직위 내부적으로도 여전히 이견

[환경TV뉴스] 신준섭 기자 = 평창동계올림픽조직위원회가 삼림자원 훼손 문제로 논란을 빚고 있는 강원도 정선 가리왕산 알파인 스키 활강경기장의 건설규모를 축소키로 결정했다. 이를 통해 당초 계획보다 많은 수목을 보호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하지만 훼손된 지역의 복원 방안과 관련해서는 내부적으로도 여전히 의견이 제각각이다. 복원하자는 쪽과 기왕 지은 시설을 이용하자는 얘기까지 합의되지 않은 내용들이 대립 중이다.

평창조직위는 19일 오전 서울 중구 프레스센터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평창동계올림픽 준비상황을 알렸다. 이날 내용의 최대 쟁점은 환경단체 등의 반대로 건설이 지연되고 있는 가리왕산 문제였다.

이 자리에서 평창조직위는 최상부인 중봉부터 시작되는 '여자코스'를 건설하지 않기로 국제올림픽위원회(IOC), 국제스키연맹(FIS)과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를 통해 기존 계획 상의 슬로프 면적 73ha 보다 30%가량이 축소된 51ha만 경기장으로 활용한다는 설명이다.

대신 경기 일정 조정을 통해 해당 코스에서 남자경기와 여자경기를 동시에 추진한다는 방침이다.

아울러 불가피하게 슬로프 구간에 포함되는 수목은 최대한 이식하겠다고도 밝혔다. 고산지대에서 자라는 주목 20본을 포함, 다른 지역에 식재할 수 있는 1181본을 이식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환경영향평가 상에 명시한 생태계 복원 방식인 '자연천이'에 대한 논란에 대해서도 설명했다. 일반적으로 자연천이란 맨땅을 자연 상태로 방치하면 스스로 복원되는 것을 말한다.

자연천이 방식을 사용하려면 경기장 슬로프에 인공눈 등을 뿌리면서 사용된 화학물질에 의한 오염을 먼저 제거해야 하는데, 이날 발표에서는 이 내용이 포함되지 않았다.

김대만 평창조직위 환경산림부장은 "1월29일 제출한 환경영향평가서에도 나와 있지만 환경단체·전문가들과 논의한 결과 자연천이 방식이 가장 적합하다고 판단해서 이 방법을 사용한 것"이라며 "지난 17일 구체적인 안을 제출해 원주지방환경청에서 검토 중이다"라고 말했다.

이어 "화학물질 등을 제거하고 오염토양을 정화하는 등의 내용도 구체적으로 안에 들어가 있다"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한 복원 예산이 잡혀 있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향후 예산 확보를 해나갈 거라고 말했다.

조규석 강원도 동계올림픽추진본부 시설위원장은 "앞으로 예산을 확보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여전히 사후 처리 부분에 대해서는 이견을 나타냈다. 해당 지역의 리조트화 문제나 설치된 곤돌라의 해체 문제에 대해서는 내부적으로도 의견이 갈렸다.

김 부장은 "지역 주민들은 아무래도 리조트 건설과 같은 수익 모델을 여전히 원하고 있는 상황"이라며 "곤돌라와 같은 경우는 해체하는 것이 맞다고 본다"고 말했다.

반면 안태경 강원도 동계올림픽추진본부 시설1과 기술사는 "곤돌라를 해체하는 데는 돈이 많이 들어간다"며 "이를 친환경적으로 이용할 수도 있지 않겠나"라며 반론했다.

한편 가리왕산을 제외한 타 시설에 대해서는 지속적으로 이용할 시설과 올림픽 이후 해체할 시설들을 나누기로 했으며, 이는 여전히 내부 논의 중이라고 밝혔다. 당장 올림픽이 끝나면 소위 '애물단지'가 되는 과거 사례를 고려해서다.

지난 2월 러시아 소치에서 열린 동계올림픽 사례가 대표적이다. 인권감시단체인 HRW(Human Right Watch)에 따르면 소치 동계올림픽을 위해 2000여가구를 이주시키고, 관광 목적으로 40개의 새로운 호텔을 지었지만 올림픽 이후 해당 도시는 '유령도시'로 변했다.

▲ 사람 한 명 없고 곳곳에 쓰레기와 부서진 도로 등이 방치되며 유령도시로 변한 소치 = 출처 HRW 트위터

 

HRW는 지난 3월 소치가 기대했던 국제관광객은 커녕 현지 주민들조차 보이지 않는 모습 속에 곳곳에 환경오염과 관리 부재로 인한 파괴 현상이 목격되고 있다고 폭로했다.

김진선 평창조직위 위원장은 "봅슬레이·루지·스켈레톤 등 3경기를 치르는 슬라이딩(Sliding) 경기장은 너무 아까운 시설인만큼 활용할 생각"이라며 "반면 빙상 경기장 등 사후 활용계획이 확실하지 않은 시설들은 가급적 임시 설계 개념으로 가서 (올림픽 이후) 철거를 고려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개폐회식장 역시 4만석 정도 규모로 만들었다가 2만5000석 정도는 철거하고 1만5000석 정도만 남겨 전지훈련장으로 사용할 생각"이라며 "연구에 연구를 거듭하고 있다. 공사의 절대 기간이 부족한만큼 도움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sman321@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