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차 한·중·일 환경장관회의, 초미세먼지 공동해결 첫 합의
중국, 74개 도시-한국, 측정소-일본, 주요지점 등 정보공유

▲리 간지에 중국 환경보호부 부부장(좌측)과 윤성규 환경부 장관(가운데), 이시하라 노부테루 일본 환경성 대신이 제16차 한·중·일 환경장관회의 합의문에 서명하고 있다.

 

[환경TV뉴스] 신준섭 기자 = 중국 정부가 미세먼지(PM10)와 초미세먼지(PM2.5) 해결에 적극 나서기로 하면서 한·중·일 3국간 대기 중 미세먼지 공동 대응체제가 마련됐다.

3국이 미세먼지 해결을 위해 구체적인 체제 마련에 합의한 것은 사실상 처음이다.

29일 대구 엑스코(EXCO)에서 폐막한 제16차 한·중·일 환경장관회의에서 3국은 미세먼지 해결을 위한 공동 노력에 합의했다.

각국 장관급 인사들이 직접 서명한 합의문은 오는 2015년부터 2019년까지 5년간 추진할 9개 우선 추진 협력 분야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다.

9개 협력 분야 중에서도 최대 관심사가 됐던 분야는 초미세먼지 분야다.

직접적인 피해를 입고 있는 우리나라 입장에서는 해당 문제에 대한 중국 측의 전향적 입장을 이끌어 내는 것이 이번 회의의 핵심이었다.

이날 본회의 결과 우리나라는 대기오염물질 관측 데이터 공유, 대기오염 예보모델 공동 연구, 과학기술 인력 교류 등의 내용을 얻어냈다.

일본하고 역시 초미세먼지 문제 공동대응을 비롯한 5가지 협력사업 추진에 합의했다.

아울러 3국은 지난 3월 중국 베이징에서 처음으로 개최된 '대기분야 정책대화'를 연례화하는데도 뜻을 모았다.

정복영 환경부 기후대기정책과장은 "중국 측에서 74개 도시의 초미세먼지 측정 정보를 공유하기로 한 것은 가장 큰 성과"라고 자평했다.

그동안 미온적 자세를 보여 오던 중국이 태도 변화를 보인 이유는 자국 내 대기오염 문제가 심각해지면서다.

중국은 석탄을 이용한 난방으로 심각한 스모그 현상을 동절기 내내 겪었다.

지난 2월 중국의 수도 베이징시의 초미세먼지 농도는 한 때 세계보건기구(WHO) 기준치인 25㎍/㎥의 15배에 달하는 380㎍/㎥에 달하기도 했다.

이 같은 상황이 지속되자 중국 정부는 3월 중국 최대 정치행사인 양회(兩會)를 통해 2015년 말까지 2조 5000억위안(약 414조원)을 환경개선 분야에 투자하겠다는 결정을 내리기까지 이르렀다.

이번 합의문 서명에 이러한 뒷배경들이 작용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리 간지에 중국 환경보호부 부부장은 이날 기자회견을 통해 "장수의 팔을 자르는 심정으로 대기오염 개선에 노력할 것"이라며 "1조 7000억위안(약 280조원)을 대기오염 개선비용으로 보고 있다"고 밝혔다.

한편 3국은 이 외에도 8개 과제에 대한 전방위적인 협력을 약속했다.

▲생물다양성 ▲화학물질관리 및 환경재난 대응 ▲자원의순환적 관리·3R·전기전자폐기물의 국경간 이동 ▲기후변화 대응 ▲물·해양 환경 보전 ▲환경교육·대중인식 및 기업의 사회적 책임 ▲농촌 환경관리 ▲녹색경제로의 이행 등이 그 대상이다.

이시하라 노부테루 일본 환경성 대신은 "3국의 환경협력 우선분야 9개를 합의한 것은 가장 커다란 성과"라며 "특히 해양쓰레기 문제에 있어서도 3국이 정보를 공유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윤성규 환경부 장관은 "오는 9월 뉴욕에서 열리는 기후변화 정상회의에서 녹색기후기금(GCF) 재원조달 계기를 마련하는데 노력하고 올해 강원도 평창에서 개최될 '제12차 생물다양성협약 당사국총회' 성공에도 협력키로 했다"고 설명했다.

sman321@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