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치추적기 부착 정책, 멸종위기종 생태파악·보호 목적서 AI방비로 전환

▲ 마치 로보트처럼 위치추적장치를 부착한 멸종위기종Ⅰ급 저어새 = 출처 환경부

 

[환경TV뉴스] 신준섭 기자 = 정부가 가금류 농가 등에 시름을 안긴 조류인플루엔자(AI) 방비 대책의 일환으로 야생조류의 위치추적장치 부착 및 관찰 대상을 확대하기로 했다.

이에따라 그 동안 밝혀지지 않았던 철새종들의 이동 경로에 대한 정보가 대폭 확충될 전망이다.

하지만 기존 멸종위기종 보호 등의 목적이 AI 방지로 기우는 부분에 대해서는 우려의 목소리도 높다. 철새가 AI의 원인이라는 점이 명확하지 않은 많큼 위치추적보단 다른 예방책을 취해야 한다는 지적이다.

11일 환경부와 농립축산식품부는 AI 예방관리 강화를 위해 2010년부터 중요 철새종의 이동경로 및 월동지 파악 목적으로 활용해 온 위치추적장치를 조류질병과 연관성이 높은 종에도 부착하기로 했다.

환경부는 지금까지 흰꼬리수리나 참매 등 멸종위기종과 AI의 주원인으로 지목된 가창오리까지 모두 17종 93개체에 위성추적장치를 부착했다. 이 중 현재까지 추적되고 있는 개체는 8종 38개체다.

농식품부 또한 자체적으로 3종 76개체에 장치를 부착, 현재 2종 43개체의 정보를 수신 중이다.

하지만 앞으로는 멸종위기종이 아니더라도 AI와 연관성이 있는 종에 대해서는 위성추적장치를 부착, 이동경로를 확인하겠다는 게 정부의 복안이다.

일례로 가창오리는 2012년 멸종위기종 지정에서 해제됐지만 올해 발생한 AI의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위치추적장치를 달았다. 가창오리의 위성 추적을 실시한 것은 전세계적으로도 이번이 처음이다.

환경부 관계자는 "이동경로 등 자세한 생태정보가 과학적·체계적으로 구축돼 AI 등 상황 발생 시 신속하고 체계적인 대책 수립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AI 예방을 위한 정책이라지만 한편에서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오고 있다. AI 전파의 원인이 철새라는 점이 명확하지 않은 상태인만큼 이동경로 파악보다 철새도래지 주변 관리를 강화하는 게 더 중요하다는 얘기다.

김현경 환경운동연합 생태사회팀장은 "아직 AI 전파 원인이 철새라고 밝혀지지 않은 상태며, AI 방지를 위해서는 철새도래지 주변 농가 등의 관리가 더 중요하다"며 "야생철새의 위치추적은 연구·보호 목적에 더 큰 목적을 둬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sman321@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