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2016년까지 국비 841억원 들여 국립멸종위기종복원센터 건립
종복원 컨트롤 타워 역할 및 금개구리 등 멸종위기종 복원 사업 진행

▲ 멸종위기종 1급 스라소니 = 제공 환경부

 

멸종위기종의 복원 사업을 총괄하는 동시에 스라소니 등 신규 멸종위기종 복원 사업을 진행할 '컨트롤 타워'가 경북 영양에 들어선다.

환경부는 각종 개발과 경제 성장 과정에서 급감한 멸종위기종의 증식과 복원 사업을 총괄할 '국립멸종위기종복원센터(가칭)' 건립 계획을 13일 발표했다.

이번에 발표된 건립 계획에 따르면 환경부는 2016년까지 841억원의 국비를 투입한다. 전체 258만㎡(78만평) 부지 내에 증식·복원 연구시설, 자연적응 연구시설, 지원시설 등을 설치한다는 계획이다.

눈에 띄는 것은 전체 부지의 반 정도인 120만㎡에 달하는 자연적응 연구시설이다. 사람 편의보다는 동·식물 눈높이에 맞춘 환경을 대규모로 조성한다는 점 때문이다.

이는 사람의 접근성이 떨어지는 영양군을 부지로 확정한 이유와도 맞닿아 있다. 방사·조사가 편하고 동·식물에게는 유리한 환경이란 점이 부지 선정에 영향을 미쳤다.

국립멸종위기종복원센터가 완공되면 우선 국립공원관리공단 산하 종복원기술원을 포함, 각각의 연구기관이 개별적으로 진행해 온 멸종위기종 복원 연구를 한 곳에서 집대성 할 수 있게 될 전망이다.

환경부는 2011년 4월부터 5개년 계획으로 전체 246종의 멸종위기 동·식물 중 43종을 복원하는 '멸종위기종 증식·복원 계획'을 시행 중에 있다.

하지만 반달가슴곰과 산양은 공공기관이, 황새는 교원대가, 남생이는 서울대공원에서 복원을 실시하는 등 각각의 종 복원 작업을 개별 기관이 맡다 보니 컨트롤 타워가 필요하다는 전문가들의 지적이 있어 왔다. 센터 건립 계획이 전문가들에게 환영받는 이유다.

또 복원 대상 동·식물 중 아직 복원 및 증식이 진척되지 않은 종에 대한 연구 작업도 실시된다. 이를 통해 멸종위기종 Ⅰ급인 스라소니, 사향노루, 나도풍란과 Ⅱ급인 금개구리 등의 동·식물을 복원한다는 계획이다.

정부는 선진국보다 늦기는 했지만 이번 발걸음이 의미가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일본·미국과 같은 선진국들은 이미 각 국별로 국가생물다양성센터나 야생생물관리청 등을 건립해 증식·복원 작업의 중추 역할을 맡기고 있다.

이정용 환경부 국립멸종위기종복원센터건립TF 팀장은 "생물자원이 국가경쟁력의 핵심으로 떠오르고 있는 시대에 발맞춰 생물주권을 확보하고 우리 국토의 생물다양성을 증진시키기 위한 사업"이라며 "생물자원전쟁시대로 비유되는 21세기에 생물주권국가로서 생물다양성을 확대하기 위한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환경부는 다음달 40억원 규모의 센터 설계 용역을 발주할 계획이다.

sman321@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