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72년 7천만㎥→2010년 8억㎥, 한옥 1200만채 건축 가능

▲ 제공 산림청

 

국토에 식재된 나무의 양이 40여년 만에 11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산림청이 최근 발간한 '한국의 산림자원 평가보고서'에 따르면 1972년 7000만㎥에 불과하던 입목축적(줄기의 부피)은 40여년이 지난 2010년 약 8억㎥로 증가했다. 99㎡(30평형) 한옥에 들어가는 나무 양이 약 60㎥인 것을 감안하면 이는 한옥 1200만채를 지을 수 있는 셈이다.

또 나무의 수도 크게 늘어 1ha당 1300그루가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1972년 당시 58.2%였던 어린나무 면적이 2.6%로 줄어든 반면 가슴높이 직경 30cm 이상의 나무가 50% 이상 분포하는 산림인 큰나무 면적은 0.2%에서 30.4%로 급증했다.

이 같은 변화는 나무의 자연적 생장 외에도 그동안의 계획적으로 국유림을 경영하고 숲 가꾸기를 하는 등 지속적으로 산림을 관리해 온 결실이라고 산림청은 설명했다.

산림의 모습 변화도 뚜렷한 것으로 나타났다. 1972년에는 침엽수림이 전체의 절반 이상(54.5%)이었지만 현재는 41.9%로 줄었고 활엽수림이 17.4%에서 27.9%로 늘었다.

산림청은 "이는 조림수종이 다양해졌고 병충해와 산불 피해를 많이 받은 소나무 등 침엽수림을 참나무류 활엽수림으로 대체한 데 따른 것"이라고 분석했다.

현재 산림의 탄소저장량은 9억1000만t으로 평가됐다. 구체적으로 나무가 4억5700만t(50.1%), 토양 4억1700만t(45.7%), 낙엽층 3800만t(4.2%)이다. 토양층의 탄소저장량은 활엽수림이 ha당 83.2t이고 여러 나무가 섞여 있는 혼효림과 침엽수림은 각각 65.3t과 59.1t으로 나타났다.

산림청은 이와 함께 203종의 나무 나이테를 데이터베이스해 수종과 기후, 나무생장 등의 관계를 분석하는 한편 앞으로 조림수종 선정과 미래 산림의 종 구성 예측 등에 활용한다는 계획이다.

news@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