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자료화면)

 

'쓰레기 대란 우려 아직 안 끝났다'

서울시와 인천시가 2016년인 수도권쓰레기매립지 사용 연한을 앞두고 이용기한 연장을 위한 협상을 벌이고 있지만 마땅한 합의점을 찾지 못하고 있다. 양 측이 합의점을 찾지 못하면 3년 후 서울시의 쓰레기 대란이 현실화된다.

3일 서울시 등에 따르면 서울시와 인천시는 지난해 12월 '쓰레기매립지 공동 태스크포스(TF)'를 발족해 1년간 협상을 벌여왔지만 현재까지 서로간의 입장차이가 좁혀지지 않고 있다. 해당 TF는 박원순 시장 취임 다음달인 지난해 11월 송영길 인천시장과의 '상생발전과 미래도약을 위한 서울ㆍ인천 공동합의문' 발표 이후 구성됐다.

우선 인천시의 경우 환경문제를 들어 기한 연장을 불허한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 악취 등으로 인한 민원이 연간 6000여건에 이르는 등 시민이 고통을 호소해 연장은 불가하다는 게 인천시 측의 설명이다.

반면 서울시는 다른 대안이 없는만큼 연장이 꼭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수도권 매립장에 반입되는 쓰레기 하루 3만여t 중 약 46.7%(1만6500여t)는 서울시에서 나오는데, 당장 수도권매립지 반입이 중단된다면 대체 수단이 없다는 설명이다.

이런 와중에 서울시의회 환경특별위원회가 토지보상금 지급을 놓고 고민하는 모습을 보이고, 인천시 주민지원협의체는 서울시 반입 쓰레기에 대해 '준법 감시'할 것을 결의하면서 잡음이 끊이지 않고 있다.

전문가들은 현재 수도권 매립지 외에는 다른 대안이 없는만큼 서울시·인천시·경기도 간 합리적 합의와 정부 조정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염형철 환경운동연합 사무총장은 "경제·환경적 측면에서 소각보다 매립이 더 유리하기 때문에 매립장은 어떤 식으로든 존재할 수밖에 없다"며 "쓰레기 매립 비용을 인상해 인천시에 인센티브를 주거나 정부에서도 악취나 오물 등 환경피해를 줄이기 위해 노력해야 할 것"이라고 제안했다.

인천시 서구 백석동에 있는 수도권매립지는 세계 최대 규모(약 1660만㎡)로, 오는 2016년으로 사용연한이 만료된다.

sman321@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