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SSB의 첫 ESG 공시 표준 발표
각국 ESG 정보 공개 의무화 및 규제화 움직임
금융투자업계, 리스크 관리 및 신사업 기회 발굴 속도

올해 6월 국제지속가능성기준위원회(ISSB)가 지속가능성 관련 정보의 첫 공시 표준을 발표하면서 기업들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경영 활동에 대한 더욱 구체적인 정보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기업들의 ESG경영 활동에 대한 규제화·의무화 움직임이 나타나는 가운데 금융투자업계 역시 적극적인 ESG 전환에 나서고 있다.

산업계에 보다 적극적인 ESG 전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금융투자업계 역시 ESG 대응에 속도를 내고있다. (사진=Unsplash)/그린포스트코리아
산업계에 보다 적극적인 ESG 전환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금융투자업계 역시 ESG 대응에 속도를 내고있다. (사진=Unsplash)/그린포스트코리아

◇ ESG 2.0 시대 도래…숫자로 말하는 진짜 ESG

ESG2.0 시대가 코앞으로 다가왔다. 앞서 기업들이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발간 등을 통해 자발적으로 ESG경영 및 정보 공개 활동을 해왔다면, 앞으론 수치화·표준화된 ESG 정보에 대한 기업들이 의무적인 정보 공개가 요구된다. ISSB가 발표한 지속가능성 공시와 유럽연합(EU)의 기업 지속가능성정보공시지침(CSRD) 등이 그렇다.

ISSB는 국제회계기준을 만드는 IFRS 산하 기관으로 올해 상반기 기준 없이 공개되던 ESG 정보의 공시 표준을 정립했다. ISSB가 발표한 첫 국제 기준은 일반요구사항에 대한 IFRS S1과 기후 관련 공시에 대한 IFRS S2다. 이 기준은 내년 1월 1일부터 적용되며 2025년부터 이 기준에 따른 첫 공시가 이뤄진다.

또 EU는 올초 발표한 CSRD 따라 2024년부터 순차적으로 기업들에 지속가능성 공시 의무를 부과한다. CSRD는 올해 1월 발효돼 내년 6월까지 EU 회원국 내 법제화된다. 국내 기업들 역시 직·간접적 규제 대상이 될 것으로 관측된다. 2029년 공시(2028년 회계연도)부터는 EU 내 대기업을 자회사로 둔 제3국 기업까지 공시해야 한다. 이 외에 미국의 증권거래위원회(SEC)도 기후변화 관련 공시 의무화를 추진 중이다.

국내 기업들의 ESG 시계 역시 더욱 빨라져야 한다는 의미다. 금융투자산업도 마찬가지다. 금융투자기업들은 기업의 자금을 중개하고 직접 투자하기 때문에 기업의 ESG 정보 등에 따른 리스크가 수익성에 직·간접적으로 미치는 영향이 클 것으로 전망된다.

◇ 금투업계도 ‘긴장’…“리스크는 대비하고 기회는 선점해야”

특히 오는 10월부터 시작되는 EU의 탄소국경세 시행이 미칠 여파가 클 것으로 보인다. EU에 수출하는 기업들은 2025년 말까지 탄소배출량을 의무적으로 보고해야 한다. 2026년부터는 수출하는 제품의 생산과정에서 배출된 탄소량에 대한 세금을 유럽 내 수입업자에게 부과하는 탄소국경세가 전면적으로 시행된다.

금융투자사가 투자한 기업이 탄소국경세 부과에 따른 수익성 악화를 겪게 되면 해당 금융투자기업의 수익성 역시 나빠질 수 있다. 이를 대비해 차입기업의 탄소배출량인 금융배출량을 파악해 감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분석이 나온다.

이승은 국제금융센터 연구원은 “현재 글로벌 금융기관들은 국제적으로 공신력 있는 이니셔티브 규정(TCFD, PCAF, SBTi 등)을 준수해 금융배출량을 감축하려고 노력 중”이라며 “탄소배출 측정과 금융기관의 금융배출량에 대한 제도가 점차 가시화됨에 따라 금융기관들은 데이터 개선, 자체적 산정 방안 마련 등 측정 고도화와 이를 토대로 한 녹색금융상품 개발, 고탄소기업 배제 등 포트폴리오 조정이 필요하다”고 분석했다.

적극적인 ESG로의 전환에 새로운 사업 기회를 발굴하는 것도 소홀할 수 없는 상황이다. 금융투자업계의 경우 탄소배출권 시장이 신사업의 주축이 될 것으로 보인다. 탄소배출권은 이산화탄소 등 온실가스를 배출할 수 있는 권리로 배출권 거래제도를 통해 시장참여자들이 이를 유가증권 등의 형태로 거래한다. 국내의 경우 초기 시장인 만큼 유동성을 공급할 금융투자사의 역할이 강조되고 있다.

글로벌 탄소배출권 시장은 2018년 1860억 유로(약 265조)에서 2022년 8650억 유로(약 1230조)로 연평균 47% 성장했다. 현재는 규제 도입이 빨랐던 유럽 내 금융사들이 글로벌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백종호 하나금융경영연구소 연구원은 “정부 및 규제기관의 탄소배출 관련 규제 강화와 기업의 탄소배출 관리 요구가 증가하면서 금융업권의 관련 사업 진출 유인이 확대됐다”며 “특히 배출권 거래제가 새로운 사업모델로 부상할 가능성이 있고, 국내는 증권사 중심으로 시장에 참여하고 있으나 아직은 상품 및 서비스 경쟁력이 부족한 상황”이라고 분석했다.

국내 배출권 시장에선 지난 2021년 정부가 배출권 시장 및 유동성 확대를 목표로 20개 증권사에 배출권시장 회원 자격을 허용했다. 이 외에 하나증권, 한국투자증권, SK증권, KB증권, NH투자증권 등 5개 증권사는 선제적으로 자발적 중개시장에도 진출해 있다.

백 연구원은 이어 “탄소배출권 관련 국내외 환경변화에 대응해 상품 및 서비스 개발은 물론 틈새시장 발굴, 특화 솔루션 개발 등 전략적 대응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jdh@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