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 1분기 대출 131.6조원·연체율 2%
금융당국 부동산PF 부실 최소화 대응 나서
금융권 "금융시장 불안정…좀 더 지켜봐야"

올해 1분기 기준 금융권 부동산 PF 대출 규모는 총 131조6000억원으로 지난해 말(130조3000억원) 대비 1조3000억원이 늘었다.(본사 DB)/그린포스트코리아
올해 1분기 기준 금융권 부동산 PF 대출 규모는 총 131조6000억원으로 지난해 말(130조3000억원) 대비 1조3000억원이 늘었다.(본사 DB)/그린포스트코리아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이 금융시장의 부실 뇌관으로 떠오르고 있다. 금융사 부동산PF 대출 규모가 눈덩이처럼 불어나고, 연체율도 급등하고 있어 부실 폭탄이 예상되고 있어서다. 금융당국은 부동산PF 부실 우려를 잠재우기 위해 대응에 나선다. 이에 올 하반기 부동산PF 부실 우려감이 얼마나 해소될 수 있을지 주목된다. 

(단위=억원, %)
(단위=억원, %)

20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이 윤창현 국민의 힘 의원실에 제출한 자료를 보면 올해 1분기 기준 금융권 부동산PF 대출 규모는 총 131조6000억원으로 지난해 말(130조3000억원) 대비 1조3000억원이 늘었다. 같은 기간 금융 업권 중에서 부동산PF 대출잔액이 가장 많이 늘어난 곳은 은행(2조2000억원)으로 나타났다. 금융권의 부동산PF 대출잔액은 ▲2020년 말 92조5000억원 ▲2021년 말 112조9000억원 ▲2022년 말 130조3000억원으로 매년 증가하고 있다. 

대출 규모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부동산PF 연체율도 상승하고 있어 부실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금융권의 부동산PF 대출 연체율은 지난해 말(1.19%) 대비 0.82%p(포인트) 오른 2.01%로 나타났다. 금융권 부동산PF 대출 연체율도 ▲2020년 말 0.55% ▲2021년 말 0.37% ▲2022년 말 1.19%로 꾸준히 상승하고 있다. 

특히 2금융권 부동산PF 대출 연체율은 급증했다. 올해 1분기 저축은행의 부동산PF 대출 연체율은 4.07%로 지난해 말(2.06%)보다 2.02% 상승했다. 같은기간 여신전문금융사(2.20%→4.20%), 상호금융(0.09%→0.10%), 보험(0.60%→0.66%) 등도 부동산PF 연체율이 올랐다.

금융권 부동산PF 연체율 상승은 금융시장 위기를 촉발할 수 있는 시한폭탄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우려감이 커지고 있다. 최근 예금 인출 사태까지 벌어진 새마을금고 사태가 언제든 재현될 수 있을 것이라는 예상도 나온다.

부동산PF 부실을 최소화하기 위해 금융당국도 급한 불 끄기에 나섰다. 금융당국은 부동산PF 최소화를 하반기 금융시장 안정 1순위로 설정하고 대응한다. 금융당국은 최근 '부동산PF 사업장 정상화 지원 펀드'를 오는 9월에 가동하기로 했다.

저축은행 부실채권(NPL)을 매입할 유동화전문회사 5개사(우리금융·하나·대신·키움 F&I·유암코)가 선정됐다. 그간 저축은행은 부실채권을 한국자산관리공사(캠코)에만 매각할 수 있었다. 5개 운용사는 캠코에서 각 펀드에 출자하는 1000억원을 포함해, 각각 2000억원 이상의 펀드를 신속히 조성할 예정이다.

다만 금융당국은 금융 업권별 총량규제를 고려하지 않고 있다고 선을 그었다. 최근 김주현 금융위원회 위원장은 “부동산 PF에 자금을 공급하는 이들이 건전성을 유지하면서 손실 흡수능력을 갖추고 대출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순리에 맞는다”며 “아직까지 총량 규제에 대해서는 생각해보지 않았다”고 언급했다.

금융권 내에서는 부동산PF 부실 우려가 하반기에 사그라질지는 지켜봐야한다는 게 대체적인 시각이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금융당국이 대응에 나서면서 부동산PF 잠재 부실 우려가 조금이나마 해소될 것으로 보이지만, 추가 금리 인상 가능성과 함께 부동산시장과 금융시장 모두 불확실성이 아직 산적해 좀더 지켜봐야한다"고 말했다.

son90@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