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익성·건전성 고려하면서 상생금융 지원책 마련 '고심'
금융당국 건전성 관리·상생금융 주문, 정책 방향성 상충

전업카드사 8곳(신한·KB·삼성·현대·롯데·우리·하나·BC카드)는 올해 1월부터 6월 말까지 신용카드 139개, 체크카드 20개의 신규 가입을 중단했다.(픽사베이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전업카드사 8곳(신한·KB·삼성·현대·롯데·우리·하나·BC카드)는 올해 1월부터 6월 말까지 신용카드 139개, 체크카드 20개의 신규 가입을 중단했다.(픽사베이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실적 악화일로를 걷는 카드업계가 금융당국의 상생금융 시행에 안절부절하고 있다. 카드 가맹점수수료율 인하로 수익성이 악화되는 가운데, 상생금융 참여로 추가적인 건전성 부담까지 떠안을 우려에서다. 카드업계는 자산건전성을 고려하면서 지원책 마련에 고심하겠다는 입장이다.

3일 금융권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2금융권을 겨냥해 상생금융 지원을 촉구하고 있다. 실제 최근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은 “제2금융권이 선제적인 리스크 관리에 나서면서 소상공인 등 중저신용자에 대한 자금 공급이 과도하게 축소되는 것 아닌지 우려의 목소리가 있다”며 “서민에 대한 자금 공급이라는 본연의 역할도 충실히 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최근 우리카드는 카드사 중 최초로 상생금융 1호 지원책을 내놓으며 첫 발을 내딛었다. 우리카드는 지원책으로 금융 취약계층 대상 채무 정상화 프로그램 및 소상공인 대상 마케팅 지원 등 실질적으로 체감할 수 있는 방안을 내놓았다. 총 지원 규모는 2200억원 수준이다.

우리카드가 상생금융 지원에 가장 먼저 참여하면서 다른 카드사들도 지원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다. 카드업계 관계자는 “금융당국의 권고와 함께 우리카드가 상생금융 지원책을 시행하면서 다른 카드사들도 참여할 수밖에 없는 분위기다”며 “상생금융 지원책을 마련하면서 자산건전성까지 고려해야 하는 상황이라, 지원책 마련에 고심하고 있는 중”이라고 말했다.

현재 카드업계는 애플페이 국내 출시 영향과 카드 가맹점 수수료 인하 등 업황 부진으로 조달비용이 상승하면서 수익성에 경고등이 켜졌다. 실적 악화 속에서 연체율도 상승해 자산건전성 관리에도 골머리를 앓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상생금융 참여가 강제돼 이러지도 저러지도 못하는 상태에 빠졌다.

실제 업황 부진으로 전업카드 8곳(신한·KB·삼성·현대·롯데·우리·하나·BC카드)은 올해 1월부터 6월말까지 신용카드 139개, 체크카드 20개의 신규 가입을 중단했다. 이는 지난해 연간(신용카드 79개·체크카드 37개) 단종 상품 수를 뛰어넘는 규모다.

(자료=금융감독원)
(자료=금융감독원)

또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1분기 기준 카드사 연체율(카드 대금, 할부금, 리볼빙, 카드론, 신용대출 등 1개월 이상 연체율)은 1.53%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4분기(1.2%)보다 0.33%포인트(p), 코로나19 팬데믹 직전인 2019년말(1.43%)과 비교해도 0.10%p 올랐다.

올해 1분기 각 사별 연체율을 보면 롯데카드가 1.49%로 가장 높았고, 이어 신한카드(1.37%), 우리카드(1.35%), KB국민카드(1.19%), 하나카드(1.14%), 삼성카드(1.10%) 순으로 집계됐다. 카드업계에서는 2분기 연체율이 더 오를 것으로 내다봤다.

특히 실적 악화를 겪는 카드사들이 상생금융에 참여하더라도 실질적인 금융지원책을 마련하기에 무리가 있다는 의견이다. 또 다른 카드업계 관계자는 “현재 카드사 입장에서는 수익성과 건전성 등을 고려해야 하는 부분이 많다”며 “이 때문에 면피성으로 ‘보여주기식’ 상생금융 지원책을 내놓을 가능성도 있다”고 말했다.

또한 금융권에서는 금융당국의 카드사 등 2금융권의 상생금융 참여 권고에 공감을 하지만, 정책 방향성이 맞지 않다는 지적도 나온다. 금융권 관계자는 “연체율이 상승하고 있는 상황에서 건전성 관리에 집중해야 하는 데, 상생금융 지원책을 통해 연체 차주에 대한 금리 인하까지 하라는 것은 상충되는 면이 있다”고 말했다.

son90@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