핀테크, 시장 우위 선점 경쟁 본격…사전신청으로 고객 모시기
금융권 "대환대출 서비스 출시 이후 시장 상황 보면서 참여"

 오는 31일 대환대출 플랫폼이 출시된다. 금융권에서는 시장을 선점하려는 움직임과 좀 더 지켜보자는 관망하는 분위기가 공존하고 있다.  (픽사베이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오는 31일 대환대출 플랫폼이 출시된다. 금융권에서는 시장을 선점하려는 움직임과 좀 더 지켜보자는 관망하는 분위기가 공존하고 있다. (픽사베이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금융권과 핀테크 업계가 대환대출 플랫폼 출시를 두고 온도차를 보이고 있다. 핀테크 기업들은 시장을 선점하려는 움직임을 보이는 반면, 기존 금융권은 보수적인 입장으로 관망하는 분위기다.

◇ 금융소비자 편의 증진 vs 수수료 부담 전가 우려

(자료=금융위원회)/그린포스트코리아
(자료=금융위원회)/그린포스트코리아

25일 금융권에 따르면 오는 31일 대환대출 플랫폼이 출시된다. 기존 대출금리비교 서비스를 제공하던 토스·카카오페이·네이버파이낸셜·핀다·뱅크샐러드와 시중은행 중에서는 신한은행이 대환대출 플랫폼을 제공한다.

우선 금융권에서는 대환대출 플랫폼이 출시되면 금융소비자의 편익 증진과 은행권 금리 경쟁이 치열해질 것으로 전망한다. 대환대출 플랫폼은 은행 영업점을 방문하지 않아도, 모바일앱을 통해 대출상품을 비교하고 금리가 낮은 상품으로 갈아탈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금융소비자에게 크게 이득이 없다는 시각도 있다. 금융사는 소비자들이 대환하면, 중개수수료 명목으로 플랫폼에 수수료를 지급하게 된다. 결국 금융사의 수수료 부담이 금융소비자에게 전가될 수 있다는 우려다.

◇ 핀테크 업체들 시장 우위 선점 경쟁 치열

핀테크 업계에서는 시장 우위 선점을 위한 경쟁이 치열하게 벌어지고 있다. 

토스는 대환대출 서비스 '대출 갈아타기' 사전 신청자가 30만명을 넘어섰다. 지난 10일 처음 사전 신청을 받은 지 2주 만이다. 토스는 대환대출 서비스 제휴사로 21개 금융사를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카카오페이는 지난 3월 대출 갈아타기 서비스를 오픈, 대출 갈아타기 상품으로 3종은 내놓았다. 카카오페이는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은행 등 5대 은행과 대환대출 서비스 제휴를 맺었다. 현재 카카오페이 '대출 갈아타기' 서비스 사전 신청을 받고 있다.

이어 네이버파이낸셜도 '네이버페이 대출 갈아타기' 오픈을 예고하며, '전 국민 이자 지원 이벤트' 사전 신청 접수를 시작했다. 네이버파이낸셜 대환대출 플랫폼에는 대환대출 인프라 사업에 참여하는 18개 저축은행이 입점한다.

핀다도 '대출 갈아타기' 사전신청을 받고 있다. 핀다의 대출 갈아타기 서비스에는 하나은행, 광주은행, JT저축은행, HB저축은행 등이 입점할 것으로 알려졌다.

뱅크샐러드는 대환대출 서비스 출시를 앞두고 고객 편의를 위한 이벤트를 진행하고 있다. 뱅크샐러드는 대출금리 비교 서비스를 통해 대출받은 금액의 0.1%를 캐시백으로 돌려준다. 캐시백은 현금처럼 사용 가능한 뱅샐머니로 지급되며 이는 언제든지 개인 계좌로 이체할 수 있다.

◇ 은행권·2금융권 "출시 이후 시장 상황 지켜보자"

기존 금융권에선 관망하는 분위기가 짙다. 5대 은행이 대환대출 서비스에 모두 입점을 한 상황이지만, 신한은행을 제외하고 대환대출 플랫폼 출시에 대해서는 고심하고 있어서다.

금융권에서는 과도한 대출 인하 경쟁이 출혈 경쟁으로 변질될 수 있다는 점과, 점포 축소 가능성에서 부담감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대환대출 플랫폼을 섣부르게 만들기보다 대환대출 플랫폼 출시 이후 시장 상황을 지켜보고 결정해도 늦지 않는다는 입장이다.

은행권 한 관계자는 "현재 핀테크 대환대출 서비스에 입점을 해, 고객들에게 상품을 제공할 수 있게 됐다"며 "대환대출 플랫폼을 자체적으로 출시하기보다는, 대환대출 플랫폼 출시 이후의 시장 상황을 지켜보면서 접근해도 늦지 않을 것 같다"고 말했다.

또한 저축은행이나 카드사 등 2금융권은 시중은행보다 금리가 높아 대환대출 플랫폼 참여에 소극적으로 대응할 수밖에 없다는 목소리도 나온다.

금융권 한 관계자는 "2금융권들은 시중은행보다 금리가 높아, 대환대출이 가능한 우량 고객이 시중은행으로 옮겨갈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고, 수수료 부담도 있어 대환대출 플랫폼 입점이나, 플랫폼 개설 등에 소극적이다"고 말했다.

son90@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