승용차 사용 빈도를 10% 줄이면 매년 소나무 1.7그루를 심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산림청은 14일 이와 같은 내용을 담은 주요 산림수종의 표준 탄소흡수량을 발표했다.

국립산림과학원은 전국 3212곳의 숲을 조사한 뒤 기후변화협약이 지정한 국제표준방법에 따라 산림수종의 표준 탄소흡수량 지표를 작성했다.

이 지표는 소나무, 잣나무, 상수리나무 등 우리나라 산림을 이루는 8개 주요 수종의 나무 나이에 따른 연간 단위면적당 CO2 흡수량과 1그루당 수량, 배출된 CO2 1t을 상쇄하기 위해 심어야 할 나무 수 등에 대한 국가 표준을 담고 있다.

숲의 탄소흡수량에서 배출량을 뺀 나머지 탄소가 나무에 고정돼 생장에 이용되는 데 착안한 이 지표를 적용하면 숲 1ha(100m×100m)는 매년 10.8t의 CO2를 흡수한다.

따라서 축구장 크기(105m×68m, 0.68ha)의 30년생 소나무 숲은 매년 1만5000km를 주행하는 승용차 3대가 배출하는 온실가스를 흡수하는 셈이다. 30년생 소나무 10 그루는 승용차로 서울에서 부산까지 갈 때 배출되는 양만큼의 CO2를 흡수한다.

또 승용차 1대가 1년 동안 배출한 온실가스를 상쇄하려면 어린 소나무 17그루를 심어야 한다. 승용차 사용 빈도를 10% 줄인다면 매년 소나무 1.7그루를 심는 것과 같은 효과를 있다는 것이다.

구길본 국립산림과학원장은 "이 지표에 따르면 30~40년생 소나무, 잣나무, 낙엽송, 참나무 등으로 이뤄진 대부분의 우리 숲은 탄소저감에 큰 기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나이가 들면서 생장이 둔화된 숲은 탄소저감기능이 줄어들기 때문에 조림-숲가꾸기-벌채를 활발히 하는 것이  탄소저감에 더 많이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news@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