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해화학물질의 85%가 기초 독성정보 없이 유통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14일 경기개발연구원 이정임 선임연구위원은 <제 2의 불산사고 사전관리가 해법이다>를 통해 이같이 밝히며 유해화학물의 위해성, 배출량 등 정보 공유가 우선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선임연구위원에 따르면 2010년 기준 유해화학물질 배출량은 전국 2985개 업체에서 14만3000t 이른다. 지역별 배출량은 경남 23.1%, 울산 15.7%, 경기 14.4%로 3개 지역이 전체 배출량의 절반 이상을 차지한다.

화학물질 사고는 1996년 이후 연평균 60여 건으로 나타났다. 그 중에서도 유독물에 의한 사고는 연평균 12건으로 집계됐다.

2000~2006년 사이 발생한 화학물질 사고를 살펴본 결과 사고 원인은 안전관리미흡 57%, 정전기 ・스파크 21%, 운전자 부주의 11% 순으로 많았다. 사고원인 물질은 톨루엔 18건, 염산과 유사휘발유 15건, 황산과 시너 12건 순으로 전체 사고건수의 약 36%를 차지했다.

이선임연구위원은 약 4만3000종에 달하는 화학물질의 85%가 독성정보 없이 유통되고 있다고 지적하며 발암, 아토피 악화, 내분비계 장애 등에 영향을 주는 물질에 대한 유해성을 평가하고 정보를 공유할 것을 주문했다.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을 유도하기 위해 유해화학물질 관련 주민, 기업, 지자체, 환경청 등 관련 이해당사자로 구성되는 리스크 커뮤니케이션 운영방안도 제시했다.

또 기업체별로 사고대비 매뉴얼 작성을 의무화하고 환경부가 이를 지원할 것도 제안했다. 정부의 화학사고 비상대응 종합매뉴얼은 각기 다른 여건을 가진 사업장에 적용하기 어렵다는 지적이다.

이선임연구위원은 "현재 7개 법률 14개 기관으로 나눠진 화학물질 관리체계의 통합이 필요하다"며, "유해화학물질 다량 배출지역은 집중관리지역으로 선정하고 사업장과 소방서의 사고대응 매뉴얼 현장 적응 훈련을 주기적으로 실시해 현장에서의 사고 대응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news@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