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대 시중은행, 연체율 일제히 상승
1분기 대손충당금 적립 확대 전망
단순자기자본비율 6% 이상 ‘전무’

4대 시중은행 전경.(각 은행 제공)
4대 시중은행 전경.(각 은행 제공)

은행권 연체율이 상승하면서 잠재 부실 우려가 커지고 있다. 여기에 은행들의 건전성 지표도 적신호가 켜졌다. 이에 따라 향후 금융지주와 은행들이 대손충당금 신규 적립에 힘쓰면서 건전성 확보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 은행권 연체율, 2020년 8월 이후 30개월 만에 최고점

(자료=금융감독원)/그린포스트코리아
(자료=금융감독원)/그린포스트코리아

26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올해 2월 말 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기준)은 0.36%로 집계됐다. 이는 전월 말(0.31%) 대비 0.05%포인트(p) 상승, 1년 전과 비교하면 0.11%p 증가했다. 코로나19 시기였던 2020년 8월 0.38% 이후 30개월 만에 최대치를 기록했다.

은행별로 보면 지난해 말 기준 신한은행과 우리은행의 가계대출 연체율은 0.22%로 전년 말(0.19%)에 비해 0.03%p 상승했다. 지난해 말 국민은행은 0.16%로 전년 말(0.12%)보다 0.04%p 증가했다. 하나은행도 0.16%에서 0.20%로 0.04%p 상승했다.

연체율이 오르면서 국내 은행의 건전성 우려도 커지고 있다. 지난해 말 은행권 국제결제은행(BIS) 기준 보통주자본비율은 12.57%로 전 분기말 대비 0.31%p 상승했다. 규제 비율(7.0%)을 상회하는 수준이지만, 전년 동기 대비로는 0.42%p 하락했다. BIS 기준 보통주자본(CET1)비율은 은행의 자본 건전성을 가늠하는 핵심 지표다.

주요 시중은행들의 보통주자본비율은 하락하고 있다. 2021년 말과 지난해 말 은행들의 보통주자본비율 변동을 보면 국민은행은 14.70%→14.50%, 신한은행 14.72%→14.07%, 하나은행 15.06%→14.64%, 우리은행 12.95%→12.68%로 일제히 하락했다.

◇ 신한·KB·하나·우리은행, 단순자기자본비율 6% 밑

2022년말 시중은행 단순자기자본비율.(자료=금융감독원)/그린포스트코리아
2022년말 시중은행 단순자기자본비율.(자료=금융감독원)/그린포스트코리아

신한·KB·하나·우리은행 중 단순자기자본비율(바젤Ⅲ 레버리지비율)이 6%를 넘은 곳이 없다. 레버리지비율은 가장 보수적으로 은행의 자본 적정성을 측정하는 지표로, 금감원은 7% 이상인 곳은 1등급, 6% 이상인 곳은 2(+)등급, 5% 이상은 2(0) 등급으로 분류한다. 은행별로 보면 지난해 말 기준 국민은행은 5.49%로 ▲하나은행 5.20% ▲신한은행 5.18% ▲우리은행 4.71%로 나타났다.

김도하 한화투자증권 연구원은 "은행업종의 연체율은 지난해 11월말 상승 전환 후 속도가 더욱 빨라지고 있다"며 "아직도 총 연체율은 코로나19 직전보다 낮지만 악화의 속도가 가파른 점이 문제이다"고 우려했다.

이어 김 연구원은 "자영업자대출은 비정상적인 증가율을 지속하고 가계 신용대출은 순상환이 계속되는 반면 연체잔액이 전년대비 40~50% 증가하면서 질적 악화를 보이고 있다"며 "이는 당장의 건전성 지표 악화에 직접적인 영향을 줄 수 있는 부분"이라고 지적했다.

은행들과 금융지주는 연체율 증가로 인한 잠재 부실에 대비해 대손충당금 적립을 더 확대할 것으로 전망된다. 금융당국도 금융사에 충당금을 선제적으로 확보하라고 당부하고 있다. 지난 24일 실적을 발표한 우리금융의 올해 1분기 충당금은 2614억원으로 전년 동기(1661억원) 대비 57.4% 상승했다. 오는 27일 실적 발표를 앞두고 있는 KB·신한·하나금융지주도 충당금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박혜진 대신증권 연구원은 "실리콘밸리은행, 크레디트스위스 등 잇따른 글로벌 은행 파산 이슈가 불거지고 있어 은행의 손실흡수 능력에 대한 요구가 강화될 것으로 보인다"며 "지난해도 충당금 추가 적립이 크게 이뤄졌지만 올해는 그보다 더 보수적으로 전망해야하며 1분기부터 회사들은 보수적 대응을 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설명했다.

son90@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