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기업중앙회, '대기업 협력사 ESG 관리현황' 조사
총 26개사가 협력사 ESG 평가 중… 3년 동안 30% ↑
협력사에 패널티로도 작용하는 ESG 평가, 지원책 절실

중소기업중앙회의 국내 대기업 30개사를 대상으로 한 '협력사 ESG 관리 현황 조사' 결과 대기업들이협력사의 ESG 강화를 위해 ESG 평가를 확대하고 관리를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본사 DB)/그린포스트코리아
중소기업중앙회의 국내 대기업 30개사를 대상으로 한 '협력사 ESG 관리 현황 조사' 결과 대기업들이협력사의 ESG 강화를 위해 ESG 평가를 확대하고 관리를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본사 DB)/그린포스트코리아

국내 대기업들이 공급망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를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미국, 유럽연합(EU) 등 주요 시장에서 ESG 규제를 강화하면서 협력사 ESG 리스크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다.

중소기업중앙회는 10일 ‘대기업 협력사 ESG 관리현황’ 조사 결과를 발표했다. 해당 조사에 따르면 주요 대기업 30개사 중 87%가 협력업체를 대상으로 ESG에 대한 관리를 강화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 대기업, "협력사의 ESG 평가하고 챙긴다"

협력사를 대상으로 한 대기업의 ESG 경영 요구 현황(사진=중소기업중앙회)/그린포스트코리아
협력사를 대상으로 한 대기업의 ESG 경영 요구 현황(사진=중소기업중앙회)/그린포스트코리아

ESG는 더 이상 대기업만의 문제가 아니다. 지난해 2월 유럽연합(EU)의 공급망 실사 지침 발표 이후 글로벌 기업들은 공급망에 위치한 협력사에 인권, 환경오염, 탄소배출량 등을 점검하고 개선하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 대기업들도 협력사의 ESG 경영 강화에 나서고 있는 모습이다. 중소기업중앙회는 국내 시가총액·매출액 상위 주요 대기업 30개사(공기업 3개사 포함)의 지속가능경영보고서 분석과 함께 ESG 평가 담당 부서 설문, 108개의 대기업 협력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을 토대로 ‘대기업 협력사 ESG 관리현황’ 조사결과를 발표했다. .

이번 조사 결과 국내 주요 대기업 30개사 중 협력사에 대한 ESG 평가를 실시하고 있는 기업 비율은 매년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019년에는 30개 사 중 17개사(56.7%)가 협력업체에 대한 ESG 평가를 실시했으며, 2020년은 20개사(66.7%), 2021년은 26개사로 86.7%로 늘어났다.

특히 2019년부터 2021년까지 3년 연속 ESG 평가를 실시한 대기업 17개 사 중 평가 협력사 수를 공개한 14개사의 평가 대상 협력수는 평균 10%가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대기업들이 평가 대상 협력사를 점점 늘려가고 있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함께 탄소중립과 관련해 협력사의 온실가스 배출량을 측정 또는 집계하고 있는 대기업도 14개사(46.7%)로 조사됐다. 중소기업중앙회는 현재 온실가스 배출량을 측정하지 않고 있는 대기업들도 향후 측정 및 공개 계획을 밝히고 있어, 협력사에 대한 온실가스 배출량 제출요구 또한 점점 늘어날 것으로 전망했다.

대기업들은 협력사의 ESG 평가 항목은 적게는 30문항부터 많게는 120개 이상의 문항으로, 환경·안전·보건·윤리경영 등 다양한 분야에 대한 평가를 실시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협력사의 ESG 평가를 수행 중인 기업 26개사 중 18개사(69.2%)는 평가결과를 인센티브 혹은 페널티 부여 등의 방식으로 구매 정책에 반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 협력사들, "ESG 관련 시설 및 설비 개선 및 자금 지원 필요해"

협력사의 ESG 경영 강화를 위한 대기업의 지원현황(사진=중소기업중앙회)/그린포스트코리아
협력사의 ESG 경영 강화를 위한 대기업의 지원현황(사진=중소기업중앙회)/그린포스트코리아

한편, 이번 조사에서는 중소기업들도 대기업의 협력사 ESG 평가 강화를 체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이번 조사에서 대기업과 거래하고 있는 중소기업 중 ESG평가를 받은 경험이 있는 108개사 중 58.3%가 ‘거래 대기업의 ESG 평가 수준이 점차 강화되고 있다’고 응답했다.

또한 대기업의 ESG 경영 요구 수준 미달시 거래량에 부정적 영향을 미친다고 응답한 비율은 30.5%, 거래처 평가 우수 등급 획득시 인센티브를 부여받는다고 응답한 비율은 24.1%로 나타나 ESG평가 결과가 페널티 요소로 활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 협력사의 ESG경영 요구가 강화된 반면 대기업의 지원은 부족하며, 현재 진행되고 있는 대기업들의 지원이 협력사들이 바라는 지원과 동떨어진 모습을 보였다.

실제 대기업의 ESG 관련 지원 여부에 ‘없다’고 응답한 비율은 42.6%를 차지했다. 또한 협력사들은 대기업의 지원이 필요 항목으로 ‘ESG 관련 시설·설비 개선’(20.4%), 'ESG 관련 자금‘(19.4%), ’교육‘(10.2%) 등을 꼽았으나, 대기업들은 ’교육‘(39.8%), ’컨설팅‘(25.%) 등을 높게 지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협력업체가 지원이 필요하다고 응답한 ’시설·설비·자금 지원‘은 4.6%에 불과했다. 상황이 이러하다 보니 협력사들이 대기업의 지원 항목을 활용하는 협력사의 비중도 대체로 낮게 나타났다.

실제 협력사 관계자들은 “거래처들의 ESG 평가 요구가 늘어나고, 그 수준도 점차 높아지고 있어 어려움을 겪고 있다”며 “평가 대응에 인력·비용적 부담이 커서 이에 대한 단가 인상 등 비용보전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기업 ESG 평가담당자들은 “영세한 협력사들이 많아 관리 대상 범위를 어느 정도로 설정할지에 고민이 크다”며 “대부분 협력사들이 ESG 경영에 필요한 데이터를 관리하지 않고 있으며, 인력·설비 부족 등의 어려움을 호소하고 있다”며 관리 측면의 어려움을 언급했다.

양찬회 중기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협력사들의 ESG 경쟁력 향상은 곧 대기업 글로벌 경쟁력과 직결된다”며 “대기업의 평가가 빠르게 확산되고 있는 만큼 평가뿐만 아니라 중소 협력사에 대한 지원이 수반돼야 대·중소기업이 함께 경쟁력을 높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hdlim@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