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금융 "보통주 자본비율 12% 초과분 주주 환원"
행동주의 펀드 금융지주사에 주주 환원 확대 요구
신한·KB·하나금융 12%대 웃돌아, 우리금융 10%대
"대손 부담 상승 예상…금융당국 자율성 부여가 관건"

4대 금융지주 사옥.(사진=각 사)/그린포스트코리아
4대 금융지주 사옥.(사진=각 사)/그린포스트코리아

신한금융지주가 자본비율(보통주 기준) 12% 초과분을 주주에 환원하겠다고 공식화하면서 KB·하나·우리금융지주에도 확대 요구가 거세지고 있다. 4대 금융지주가 지난해 역대급 호실적을 기록한 가운데, 최근 주주인 행동주의 펀드가 중기 주주 환원 정책 도입을 요구하고 있어서다.

다만 관건은 금융당국의 의중이다. 지난해 이복현 금융감독원장이 주주 환원 정책에 대해 금융권의 자율에 맡긴다고 했지만, 최근 금융당국은 금융권에 손실 흡수 능력 강화와 자본 건전성을 유지해달라는 상황이다. 이에 금융당국이 금융지주사의 주주 환원 정책에 어느 정도 수준의 자율성을 부여할지 주시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10일 금융권에 따르면 신한금융은 지난 2일 열린 신한경영포럼에서 자본비율(보통주 기준) 12% 초과분은 주주에 환원하는 것을 목표로 삼겠다고 선언했다. 신한금융의 이같은 주주 환원 확대 정책에 KB·하나·우리금융의 주주 환원 정책에 관심이 모아진다.

최근 얼라인파트너스자산운용(얼라인)은 KB·신한·하나·우리·JB·BNK·DGB금융 등 7개 상장 은행지주사를 상대로 공개서한을 보냈다. 다음달 9일까지 이사회 결의를 통해 자본배치정책 및 중기 주주 환원 정책을 도입할 것을 요구했다. 이어 '국내 은행주 캠페인 공개간담회'를 열고 금융지주사의 최소 목표 주주 환원율을 50%로 제시했다. 

이복현 금감원장의 입장도 힘을 실었다. 지난해 11월 이복현 금감원장은 "은행, 금융지주의 배당 등 주주환원 정책, 가격 결정 등에 금융권의 자율적인 의사결정을 존중하고 금융당국의 개입을 최소화하겠다"고 밝혔다.

여기에 지난해 4대 금융지주가 호실적을 기록하고 있는 만큼 주주 환원 확대에 나설 가능성이 높다는 분석이다. 현재 금융권에서는 4대 금융지주의 지난해 연간 순이익이 17조에 육박할 것으로 전망한다.

금융지주들의 자본비율도 긍정적이다. 금융지주들의 보통주자본(CET1)비율을 보면 지난해 3분기 말 기준 ▲신한금융 12.66% ▲KB금융 12.60% ▲하나금융 12.85% ▲우리금융 10.91%이다.

보통주자본(CET1)비율은 금융지주사의 건전성을 파악하는 핵심적인 지표다. 회사의 배당 여력을 가늠하는 데도 활용된다. 금융당국은 해당 지표를 10.5% 이상 유지할 것을 권고한다.

전배승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신한·KB·하나금융의 보통주 자본비율 12% 초과분을 모두 주주환원 재원으로 활용할 경우 연간 평균 추가 주주 환원 가능 규모는 약 1.7조원으로 추산된다"며 "이를 30% 배당 성향과 합산하면 총주주환원율은 65% 수준으로, 해외은행과 유사하게 증가한다. 현재 12.6~12.7%인 보통주 자본비율이 12%로 낮아지는 시점엔 일시적으로 주주환원율을 100% 수준까지 상향도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일각에선 우리금융의 경우 자본비율이 10%대에 그치고, M&A(인수·합병) 추진이 급선무인 상황인 만큼 M&A에 집중해 자본을 활용할 가능성이 클 것이라는 관측이다. 이에 배당 성향이 전년도와 비슷한 수준에 머물 것이라는 분석이다.

백두산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2022년 배당 성향은 최근 주주 환원 확대 기대감을 감안해도 25%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보인다"며 "보통주 자본비율이 11%인 상황에서 회자되고 있는 다올인베스트먼트 인수 가능성이나 중장기로 추진 중인 증권사 M&A를 감안해 성장에 자본이 쓰이는 것이 유리하다"고 설명했다. 

금융권에선 무엇보다 금융시장의 불확실성을 고려해 향후 금융당국의 의중을 주시해야 한다는 조언이다. 현재 금융당국은 금융권에 은행 자본 확충, 충당금 적립 등 손실 흡수 능력 강화와 함께 자본 건전성 확보를 강조하고 있다.

이복현 금감원장은 지난해 12월 22일 "배당이나 자사주 매입 등 주주 환원 정책에 대한 의사결정은 결국 이사회 통제를 받는 경영진의 몫"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금감원에서 실시한 여러 스트레스테스트 결과를 금융권과 조심스럽게 공유 중이다. 건전성 확보 여력이 있다면 그 범위 안에선 자율적으로 하는 게 맞는다는 입장"이라고 했다.

전 연구원은 "주주와 회사가 주주환원 확대에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어, 금융당국의 의사결정이 중요할 전망이다"며 "은행 배당의 자율성을 존중하겠다는 입장을 밝힌 바 있으나 경기침체 환경에서 대손 부담 상승이 예상되는 현 국면에서 어느 정도 수준의 자율성을 부여할 것인지 지켜볼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son90@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