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광수 은행연합회 회장.(은행연합회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김광수 은행연합회 회장.(은행연합회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김광수 은행연합회 회장은 30일 2023년 신년사를 통해 "리스크 관리를 최우선에 두고 경영의 내실을 다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 회장은 "경기둔화의 깊이를 예측하기는 어렵지만, 지금까지 경험한 위기들은 예상보다 더욱 튼튼한 방파제를 쌓아야 한다는 교훈을 남겼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내년 금융산업 환경 전망에 대해 "글로벌 거시경제가 수축 국면에 접어들 것이라는 예측이 지배적이다. 주요국 정책당국은 인플레에 맞서는 와중에 경기둔화에 대응한 부양정책도 펼쳐야하는 딜레마에 처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금융산업에서도 실물경기 침체에 따른 대손비용 증가, 자금시장 경색 등 위험 요인을 맞이할 수 있다"며 "다른 한편으론, 디지털 전환으로 촉발된 금융산업 경쟁구도의 변화가 뉴 노멀로 정착할 것이다"고 전망했다.

김 회장은 “금융권은 지난해 충당금 기준을 개선해 대손충당금 규모를 선제적으로 늘렸으나, 가계 및 한계기업의 상환능력 저하 등 실물부문 부실 확대에 대비해 크레딧라인을 재점검해야 하고, 산업별 위험요인에 대한 모니터링도 강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어 "불황은 고통스러운 시간이지만, 새로운 도약을 준비하기에도 좋은 시기이다. 글로벌 은행들도 보수적으로 대출을 운영하는 동시에 WM·디지털뱅킹 등 성장분야에 대한 투자는 과감하게 늘리고 있다"며 "우리 금융산업도 산업구조와 인구구조 변화에 대비해 상품, 조직, 문화, 전략을 재정비하고, 경영의 내실을 다져야 할 때이다"고 강조했다.

그는 "경제적 방어망 역할을 충실히 수행해야 한다"며 "미국 금리인상의 나비효과는 우리 경제와 금융의 시계를 더욱 흐리게 만들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국제통화기금(IMF)에서는 위기가 발생하면, GDP 성장률이 예년 수준을 회복하는데 평균 3.1년이 걸린다고 분석했다"며 "은행은 매년 1조원 규모의 사회공헌사업을 실시하는 등 상생 노력을 지속했으나, 고금리·물가로 부담이 커진 가계·소상공인·중소기업에 대한 지원을 확대해 따뜻한 금융을 실천해야 한다"고 전했다.

끝으로 김 회장은 "금융·비금융 산업간 융합 확대는 금융산업 혁신의 전환점이 될 것"이라며 "금융사는 패러다임 변화에 발맞춰 데이터 수집·분석체계를 고도화하고 인공지능(AI) 기반 초개인화 서비스를 도입하는 등 차별화된 경쟁력을 갖춰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조직의 결합(M&A)과 분할(Spin-off), 업무위탁 등을 통해 경영의 효율성을 높여 새로운 성장기회를 모색해야 할 것이다"고 덧붙였다.

son90@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