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년 대비 29% 증가…공적금융보다 민간금융 늘어
"ESG워싱 방지 위한 한국형 소셜 택소노미 개발 시급"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은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실과 함께 국내 금융기관들의 ESG금융 현황을 분석한 ‘2022 한국 ESG금융 백서-지속가능금융 대장정, 그 길에 오르다’(백서)을 발간했다.(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그린포스트코리아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은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실과 함께 국내 금융기관들의 ESG금융 현황을 분석한 ‘2022 한국 ESG금융 백서-지속가능금융 대장정, 그 길에 오르다’(백서)을 발간했다.(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그린포스트코리아

지난해 우리나라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금융 규모는 전년 대비 29% 증가한 786조9000억원으로 나타났다. 공적금융기관보다 민간금융기관의 ESG금융 규모 성장이 컸다. 다만 ESG 워싱에 대한 우려도 높아 이를 막기 위한 제도 구축과 적용이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16일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은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실과 함께 국내 금융기관들의 ESG금융 현황을 분석한 ‘2022 한국 ESG금융 백서-지속가능금융 대장정, 그 길에 오르다’(백서)을 발간했다.

백서는 공적금융기관(79개)과 민간금융기관(88개) 전체를 대상으로 ESG금융과 관련한 전반적인 현황을 전수 조사해 분석했다. 지난해 12월 최초로 ‘한국 ESG금융 백서’를 펴낸 데 이어 두 번째다.

◇ 지난해 ESG투자 272조원…전년比 74조9000억원, 가장 큰폭 증가

백서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국내 ESG금융 규모는 786조9000억원으로 2020년(611조원) 대비 29% 증가했다. ESG금융 유형별로는 ESG대출이 340조원 ▲ESG투자 272조원 ▲ESG금융상품 77조원 ▲ESG채권발행 98조원으로 파악됐다. 

이는 전년 대비 비교했을 때 ESG금융의 모든 유형에서 15% 이상의 높은 성장률을 보여준다. 금액 기준으로는 ESG투자가 74조9000억원으로 가장 큰 규모로 증가했다. 다만 국내 ESG금융 규모는 올해 6월말 기준 510조원이었다. 경기침체로 올해 말까지의 ESG금융 규모 증가세는 다소 둔화될 전망이다.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은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실과 함께 국내 금융기관들의 ESG금융 현황을 분석한 ‘2022 한국 ESG금융 백서-지속가능금융 대장정, 그 길에 오르다’(백서)을 발간했다.(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그린포스트코리아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은 이용우 더불어민주당 의원실과 함께 국내 금융기관들의 ESG금융 현황을 분석한 ‘2022 한국 ESG금융 백서-지속가능금융 대장정, 그 길에 오르다’(백서)을 발간했다.(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그린포스트코리아

국내 ESG금융은 공적금융기관 410조9000억원, 민간금융기관 360조6000억원으로 공적금융기관의 규모가 더 컸다. 그러나 전년 대비 증가액과 성장률은 공적금융기관은 56조원(16%↑), 민간금융기관은 107조원(42%↑)으로 민간의 ESG금융이 크게 성장한 것으로 나타났다.

ESG금융 분야별로 보면 지난해 기준 ESG대출 규모는 340조원으로 전년 대비 19% 성장했다. 대출 유형별로는 기업대출 규모가 191조원으로 가장 컸으며 ▲개인대출(127조원) ▲PF(22조원) 순으로 나타났다. ESG대출은 ▲환경(E)영역 66조원 ▲사회(S)영역 268조원으로 사회영역이 전체의 79%를 차지했다. 

◇ ESG 워싱 우려…"녹색·사회분류체계 적용·지속가능금융공시 도입해야"

ESG금융의 성장에 따라 ESG워싱 우려도 커지고 있어 이를 효과적으로 방지하기 위한 제도 구축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백서는 ESG 워싱 방지를 위해 ▲녹색분류체계 적용 ▲사회분류체계 조기 개발과 적용 ▲지속가능금융공시 도입 등을 제안했다.

우리나라는 녹색분류체계를 만들어 2020년 12월말 공개한 바 있으며, 사회분류체계는 올해 8월 산업부에서 정책연구 용역을 발주한 바 있다. 사회적채권가이드라인도 현재 기획재정부에서 개발 중이다.

국내 금융기관을 대상으로 한국형 녹색분류체계와 사회적채권가이드라인 적용 여부를 조사한 결과, 한국형 녹색분류체계의 경우 설문에 응답한 167개 금융기관 중 40%에 해당하는 66개 기관(공적 11개·민간 55개)이 적용 계획이 있다고 밝혔다. 

또 사회적채권가이드라인이 개발되면 76개 기관(공적 14개·민간 62개)이 이를 적용할 계획이라고 응답했다.

백서에서는 특히 한국형 사회분류체계 개발이 시급하다고 강조했다. ESG투자를 제외한 나머지 ESG금융 유형(대출·금융상품·채권발행)에서 사회(S) 관련 금융활동이 금액 기준으로 73%를 차지하고 있다고 분석됐기 때문이다.

지속가능금융공시도 본격적인 논의에 착수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특히 국내 금융기관은 예·적금, 보험 등을 ESG상품으로 분류하고 있어, 펀드 이외의 금융상품에 대한 정의 및 공시기준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유럽연합(EU)은 지속가능금융공시규제(SFDR)를 만들어 지난해 3월 펀드상품을 시작으로 적용하고 있다. 미국 SEC는 ESG펀드에 대해 일관되고 비교가능한 정보를 투자자에게 제공하기 위해 ESG펀드 및 투자자문사에 대한 공시규칙 및 보고양식 개정을 제안한 상태다.

이용우 국회의원은 “ESG에 대한 내용을 평가하고 비교해 이에 기반한 투자를 하거나 금융상품을 선택하기 위해서는 표준화된 기준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김영호 한국사회책임투자포럼 이사장은 "ESG워싱 방지를 위한 엄격한 법·제도·정책 구축과 감독기구 설립, ESG공시 표준화와 평가의 신뢰성 제고 방안, ISO 26000과의 보완책 등 ESG가 제대로 작동할 수 있는 시장 생태계 구축을 위한 새로운 대안들을 모색해야 할 시점이다"고 설명했다.

son90@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