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사 경쟁력 감소, 사회적 책임 저하 우려"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금융노조) 조합원들이 16일 서울 광화문 세종대로에서 총파업 결의대회를 하고 있다.(사진=손희연 기자)/그린포스트코리아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금융노조) 조합원들이 16일 서울 광화문 세종대로에서 총파업 결의대회를 하고 있다.(사진=손희연 기자)/그린포스트코리아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금융노조)의 총파업은 다수 국민들의 누려야 할 보편적 금융공공서비스를 지켜내고 금융노동자의 정당한 권리를 쟁취하기 위한 필사적인 투쟁이다." 

금융노조가 2016년 이후 6년 만에 총파업에 돌입했다. 16일 오전 본지가 찾은 서울 광화문 세종대로사거리 일대에는 금융노조 소속 조합원들이 총파업 결의대회를 열고 '2022 9·16 총파업 승리!', '관치금융 철폐! 노동탄압 중단!' 등의 문구가 적힌 티켓을 들고있었다. 집회 현장 곳곳에는 금융노조 깃발도 보였다.

이날 총파업에는 금융노조 본조 집행부와 39개 지부대표자 및 간부들 그리고 전국 각지에서 모인 조합원들이 참여했다. 금융노조 측은 약 3만명의 조합원들이 집회를 참석해 총파업 투쟁을 펼쳤다고 전했다.

다만 금융감독원은 인터넷은행을 제외한 17개 은행 본점 및 전산센터에 검사인력 파견해 현장을 점검한 결과 오전 10시 30분 기준 약 9807명이 파업에 참여한 것으로 집계됐다고 밝혔다. 파업 참여율은 전체 직원의 9.4% 수준으로 조합원 대비 참여율은 13.6%이다. 정보통신(IT)인력 파업 참여율은 8.6%로 파악됐다.

KB국민·신한·우리·하나·NH농협 등 5대 은행의 파업 참여율은 0.8% 수준이다. 산업은행 및 기업은행 등의 파업 참여율이 시중은행 대비 높은 상황이다.

◇ 금융노조와 금융사 의견 차이 어디서 왔나? 

금융노조가 6년 만에 총파업에 돌입한 이유는 사측과 이견을 좁히지 못했기 때문이다.

금융노조는 사측에 △임금 5.2% 인상 △주36시간(4.5일)제 시범 운영 △점포폐쇄 시 사전 영향평가제도 개선 △임금피크제 개선 △국책은행 지방이전 중단 등을 요구하고 있다.

앞서 금융노조는 6.1%의 임금 인상률을 요구하다가 5.2%(한은 물가 상승률 전망 근거)로 낮췄지만, 사측인 금융산업사용자협의회는 2.4%의 임금인상률을 제시했다. 사측은 임금인상뿐만 아니라, 다른 요구 사항도 ‘수용 불가’라는 입장이다.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금융노조) 조합원들이 16일 서울 광화문 세종대로에서 총파업 결의대회를 하고 있다.(사진=손희연 기자)/그린포스트코리아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금융노조) 조합원들이 16일 서울 광화문 세종대로에서 총파업 결의대회를 하고 있다.(사진=손희연 기자)/그린포스트코리아

박홍배 금융노조 위원장은 이날 “공공기관을 민영화하고 노동 개악을 추진하는 윤석열 정권과 점포·고용을 줄이고 주주 배당에 목숨을 건 금융사용자들에 맞서 금융의 공공성을 사수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어떤 정권이 들어서도 그들만의 잔치를 멈추지 않는 기획재정부와 그들에게 부화뇌동하는 금융지주 권력에 철퇴를 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 위원장은 △정당한 노동 대가 쟁취 △점포 폐쇄 중단 △적정인력 유지 △임금피크제 폐지 △노동시간 단축 △해고사유 제한 △공공기관 혁신안 폐기 △국책은행 지방이전 폐기 쟁취를 재차 강조했다.

금융노조는 이날 총파업 이후에도 사측과 이견이 좁혀지지 않을 경우 투쟁을 계속 이어간다는 방침이다. 노조 측은 오는 30일 2차 총파업을 예고했다.

◇  노사 갈등 길게 이어지면...'사회적 책임' 문제는?

이를 두고 금융권 안팎에서는 노사의 갈등이 장기화될 경우 은행사들의 경쟁력 저하는 물론, 사회적 책임에 반할 수 있을 것이라는 우려가 나온다. 특히 현재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 실천에 적극적으로 나서고 있는 은행사들은 치명적일 수 있다는 것이다.

ESG 수준 평가에 활용되는 KCGS(한국기업지배구조원)의 사회모범규준에서도 ‘기업은 노사 간 효율적인 대화를 통해 고용주와 근로자 양측의 요구를 모두 고려함으로써 건전한 노사관계를 형성한다’고 강조하고 있다. 

강성진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는 “이번 파업이 장기화될 경우 은행사들의 경쟁력 감소가 우려된다”며 “현재 파업에 동참하는 직원 수도 적다는 것은 대내외적으로 공감대 형성도 낮다는 것이고, 향후 은행사들의 사회적 책임도 저하될 수 있다”고 말했다.  

son90@greenpost.kr

키워드

#금융노조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