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에 케이블카를 설치하려는 주된 목적은 국립공원 보호에 있지, 경제적 이익에 있지 않다. 수많은 탐방객과 등산객의 발길로 신음하는 일부 국립공원의 탐방로를 좀 쉴 수 있도록 하려는 것이다.”

국립공원위원회 간사인 환경부 자연자원과 정선화 과장의 말이다(6월28일 오전 KBS1라디오와 인터뷰 중 일부). 그동안 셀 수도 없이 많은 사람들이 밟고 지나가서 상처 나고 훼손된 주요 국립공원의 탐방로를 더 이상 방치할 수 없으니 케이블카라도 설치해서 탐방로가 계속 망가지는 것을 막아보겠다는 게 케이블카 설치의 진짜 목적이라는 설명이다. 따라서 경제성에만 초점을 맞춰 국립공원 케이블카 설치를 추진한 지자체의 생각은 처음부터 출발이 잘못됐다는 말이다.

기자는 정 과장의 지적에 전적으로 동의한다, 지자체들이 케이블카 설치를 자연생태계 보전의 한 불가피한 선택으로 생각하지 않고, 돈벌이의 수단으로만 여긴 탓에 환경성과 경제성에 모두 미치지 못하는 계획을 수립했다는 게 기자의 판단이다.

예를 들어 설악산에 케이블카를 설치하겠다고 제시한 양양군의 경우를 보자.

국립공원위원회의 검토결과에 따르면 양양군은 케이블카를 설치하는 대신 오색 탐방로 폐쇄 계획을 제시했지만, 이 탐방로는 대청봉으로 가는 최단 거리 탐방로여서 폐쇄시 대청봉을 찾는 많은 탐방객들이 상당히 불편을 겪을 것으로 예측됐다. 특히 케이블카 종점이 대청봉과 직선거리 230m여서 걸어서 쉽게 대청봉에 접근이 가능한 것으로 조사됐다. 케이블카 이용객들이 대청봉으로 가지 못하도록 통제하는 것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데도 일단은 따내고 보자는 심산으로 그렇게 계획을 제시했다는 얘기다.

영암군의 경우는 지난해 월출산을 찾은 탐방객이 약 34만 명 수준으로 굳이 케이블카를 설치할 필요성이 없음에도 계획을 제출했다. 정 과장은 지자체들이 케이블카 설치의 목적을 망각한 예로 월출산(영암군)을 꼽았다.

물론 케이블카 설치를 통해 관광객 유입을 늘리고 지역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겠다는 지자체의 ‘눈물겨운’ 노력을 모르는 바 아니다. 젊은이들은 떠나고, 생산기반은 갈수록 취약해 지고, 고령인구가 경제활동의 중심축이 되어 버린 현실에서 어떻게든 지역경제를 살려보겠다는 충심은 십분 이해하고 남음이 있다. 하지만 국립공원이 지금 세대의 것이 아니라 우리의 후손들로부터 잠깐 빌려 쓰고 있는 것임을 상기할 때 눈앞의 작은 경제적 이익만을 쫓아 무분별하게 케이블카를 설치하겠다고 덤벼서는 안 된다. 오히려 관할 지역의 국립공원을 제대로 보전하는 일이 장기적으로 지역경제를 살리는 길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지난 10년간 지속된 국립공원 케이블카 논쟁이 이제 일단락됐다. 해당 지자체들이 환경성과 경제성을 보다 충실하게 충족하는 설치 사업 계획안을 다시 제출하면 재심의할 수 있다는 입장이지만 기약은 없다. 이번 결정이 ‘일단락’이 아니라 논란의 ‘종지부’이기를 바라는 게 기자의 솔직한 심정이다.

삭도의 소음과 기름 냄새는 국립공원과는 도무지 어울리지 않는다. 국립공원 그대로의 모습이 좋아 찾던 수많은 탐방객들이 오히려 케이블카 때문에 등을 돌릴지 모른다. 무엇이 진정으로 지역경제를 살리고 자손만대 행복한 터전을 물려줄 수 있는 방법인지, 원점에서 다시 깊은 고민이 필요해 보인다. (2012. 6. 28)

mazinger@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