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관적인, 쉽게 버리는 행동에 대한 인식을 바꾸다

기업이나 정부가 아닌 일반 소비자가 실천할 수 있는 가장 확실한 ‘친환경’ 노하우는 ‘쓰레기를 덜 버리는 것’입니다. 플라스틱이든, 음식물 쓰레기든, 아니면 사용하고 남은 무엇이든...기본적으로 덜 버리는게 가장 환경적입니다.

그린포스트코리아 편집국은 지난 2~3월 ‘미션 임파서블’에 도전했습니다. 쓰레기를 버리지 않고 주말 이틀을 살아보자는 도전이었습니다. 도전에 성공한 사람은 한 명도 없었습니다. 이틀 동안 쓰레기를 버리지 않는게 말 그대로 ‘불가능한 미션’이었기 때문입니다.

그래도 환경을 포기할 순 없습니다. 하여, 두 번째 도전을 시작합니다. ‘제로웨이스트’입니다. 이틀 내내 쓰레기를 ‘제로’로 만들지는 못할 것 같습니다. 그래서 할 수 있는 것부터 실천하기로 했습니다. 쓰레기를 배출하던 과거의 습관을 하나씩 바꿔보려 합니다. 평소의 습관이 모여 그 사람의 인생과 운명이 결정된다면, 작은 습관을 계속 바꾸면서 결국 인생과 운명도 바꿀 수 있을테니까요. 불편하고 귀찮은 일이지만 그래도 한번 해보겠습니다. 아홉 번째 도전입니다. 쓰레기통을 치웠습니다. [편집자 주]

쓰레기통을 없애면 쓰레기가 줄어들까? 그러니까 이건, 버려지는 물건의 절대적인 양 보다는 '습관적인 버림'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대한 실험이다. (픽사베이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쓰레기통을 없애면 쓰레기가 줄어들까? 그러니까 이건, 버려지는 물건의 절대적인 양 보다는 '습관적인 버림'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대한 실험이다. (픽사베이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이한 기자] 우리는 플라스틱에 둘러싸여 산다. 아침에 일어나면 플라스틱 소재가 들어간 냉장고에서 플라스틱 물통을 꺼내 역시 플라스틱이 포함된 컵에 물을 따라 마시고, 플라스틱 칫솔로 이를 닦은 다음 플라스틱 살균기에 그 칫솔을 넣는다. 세면대에 튄 물은 휴지로 닦아 플라스틱 쓰레기통에 넣는다. 플라스틱에 둘러싸인 채, 플라스틱 쓰레기를 버리려고 플라스틱 쓰레기통을 쓰는 삶이다.

개인이 쓰레기를 줄이는 방법은 두 가지다. 덜 사거나 덜 버리는 것. 둘 다 쉽지가 않다. 먹고 사는데 필요한 건 많고, 물건들은 죄다 비닐과 플라스틱으로 포장돼 있으며 뭔가를 하려면 대개 쓰레기가 나온다. 쌓인 먼지며 흘린 음식 찌꺼기만 쓸고 닦아도 휴지통에 새로운 게 쌓인다. 그러면 어떻게 해야 할까.

기자는 최근 다소 극단적인(?) 실천을 하나 해봤다. 쓰레기통을 버리는거다. 쓰레기를 버리지 말자고 쓰레기통을 없앴다니 그게 무슨 소린가 싶겠지만 곰곰이 생각해보면 가능할 것도 같았다.

비닐과 플라스틱은 어차피 잘 구분해 분리배출 하면 된다. 테라스에는 이미 재활용품 수거함이 있다. 종이도 버리는 방법이 있고 의류도, 음식쓰레기도, 수명이 다한 형광등이나 배터리, 깨진 그릇도 모두 버리는 방법이 정해져 있다. 결국 쓰레기통에 버리는 건 정해져 있다. 뭔가를 닦아낸 휴지나 물티슈, 또는 키친타올, 그 밖에 생활 속에서 소소하게 버리는 작은 물건들이다. 이걸 없애면 쓰레기통이 없어도 된다.

주방과 식탁, 거실과 다용도실에 각각 하나, 그리고 방과 욕실, 화장실에도 쓰레기통이 있었다. 이 많은 플라스틱(또는 철재) 통들을 어떻게 하면 좋을까. 일단 모두 치웠다. 내다 버리진 않았다. 쓰레기를 줄이자는 취지인데 커다란 통 여러 개를 폐기물로 내놓는 건 모순이었다.

다른 방법을 찾았다. 모던한 디자인의 쓰레기통은 뚜껑을 제거해 우산꽂이로 쓰기로 했고, 고래와 공룡 그림이 귀여워 사 놓고 한 번도 사용하지 않은 플라스틱 쓰레기통은 수납함으로 용도를 바꿨다. 페달이 달려 있던 식탁 옆 쓰레기통은 위치를 바꿔 발이 닿지 않는 곳으로 옮겼다. ‘사용하지 않겠다’는 취지였다. 사용하는 쓰레기통은 딱 하나, 방과 거실에서 가장 멀리 떨어진 다용도실에 유일하게 남겨뒀다. 그나마 그것도 ‘쓰레기통’이 아니라 5리터 종량제봉투를 그냥 놓아뒀다. 꼼꼼하게 차곡차곡 눌러 버리지 않으면 곧 가득 차도록 말이다.

◇ 쓰레기 못 줄이면...버리는 습관을 줄이자 

내 의도는 '그동안 별다른 고려 없이, 그저 습관적으로 버렸던 것들을 줄여보자'는 거였다. 평소 작은 얼룩 하나만 묻어도 물티슈를 두장씩 뜯었다. 청소기 돌리는 게 귀찮으면 ‘돌돌이’ 가지고 먼지 대충 긁은 다음 끈끈이 붙은 청소포를 주욱 찢어서 대충 뭉쳐 버렸다. 커다란 물티슈처럼 생긴 일회용 청소포를 교체해가며 바닥을 닦는 청소도구가 있는데, 한쪽 구석만 급히 닦을 때는 청소기 대신 그걸 주로 썼다.

싱크대에 물이 튀면 키친타올 두칸, 버터칼이나 포크에 묻은 양념 찌꺼기 같은 건 으레 휴지로 먼저 닦은 다음 씻었다. 적당한 사이즈의 휴지통에 아무렇게나 버리는 건 매우 편리했다. 그냥 휙 던져놓고 나중에 쓰레기통을 비울 때 커다란 종량제 봉투에 옮겨 담으면 되니까.

뭐가 달라졌을까. 쓰레기통을 눈에서 치우고 버리는 과정을 불편하게 만드니 물티슈나 키친타올 사용이 자연스레 줄었다. 요즘은 손수건이나 면 행주를 쓰고 휴지 사용할 때도 두 칸이 아니라 한 칸, 바닥 청소도 청소포를 돌돌이나 일회용 청소포 말고 진공청소기를 쓴 다음 먼지만 모아 한 번에 버린다. 언제부터인지도 모르게 집 한구석에 있던 빗자루와 쓰레받이가 있는데 요즘은 가끔 그것도 쓴다. (먼지는 버려야 되지만) 전기도 안 쓰고, 일회용 청소포 역시 안 쓸 수 있어서다.

버려지던 물티슈와 일회용 청소포, 키친타올 뭉치를 하루종일 모아봤자 그 양은 얼마 되지 않는다. 아침 저녁으로 쓸고 닦는 성격도 사실은 아니다. 지금도 기름을 닦아내거나 물티슈를 써야하는 일이 있으니 정확하게 말하면 ‘휴지 제로’를 실천한 것도 아니다. 기껏해야 하루에 5장쯤 아꼈을까 싶다.

하지만 열흘이면 50장이고 일년이면 1,800장이 넘는다. 그리고 이건 쓰레기의 양보다는 무언가를 한번 쓰고 버리는 것에 대한 ‘인식과 태도’를 바꿔보자는 시도였다. 지금 기자는 재택근무 중인데, 이 글을 쓰는 컴퓨터 책상 근처에는 휴지가 없다. 이 방에는 쓰레기통도 없다. 불편하지만 그러다 보니 습관적으로 한 번 쓰고 버리는 건 아무래도 줄이게 된다. 평생 그럴 자신은 아직 없다. 다만, 바로 그게 이 기사의 의도다.

물론, 버려져도 괜찮은 좋은 소재의 물건들을 기업이 많이 만들고 버려지는 것들의 순환 구조를 정부가 더 꼼꼼히 세운다면 개인이 굳이 이런 노력을 하지 않아도 되겠지만 말이다.

leehan@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