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은경 경제부 기자
박은경 경제부 기자

 

[그린포스트코리아 박은경 기자] 지난해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해외 금리연계 파생결합상품(DLF) 사태에서 “세상에 공짜 점심은 없다”며 투자자 책임을 강조한 바 있다. 손실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나 판매사 어느 한쪽에 치우치지 않는다. 

그런데 지난해부터 잇따른 금융사고와 최근 원유 레버리지 파생상품 손실에선 판매사와 운용사 책임이 유난히 대두되고 있다. 이들 금융사가 지속적으로 지탄받는 이유는 무엇일까.

높은 수익을 얻기 위해선 손실 가능성을 안고가야 한다는 대전제를 망각했기 때문이 아니다. 판매사와 운용사가 의도적으로 손실을 유도했기 때문이라는 과도한 해석과 흠짓내기에 혈안이 올라서도 아니다. 

지난달 22일 삼성자산운용은 손실폭을 줄이기 위해서 'KODEX WTI원유선물 ETF'의 편입자산을 당시 최근 월물 이었던 6월물에서 6~9월물로 임의 분산시켰다. 괴리율 급증과 유가 하락에 따른 손실을 줄이기 위해서였다. 그러나 월물 교체를 단행한 다음날 6월물 가격이 상승하며 오히려 손실을 키운셈이 됐다. 6월물이 상승했지만 삼성운용의 월물 교체로 상승률이 반영되지 않아 오히려 손실을 보게 됐다. 이후 투자자들은 삼성운용을 상대로 손배소송까지 불사한 싸움을 알렸다. 

투자자들의 분노가 단지 손실에 따른 화살을 운용사에 돌리는 것일까. 월물교체를 단행하기 전 투자자에게 이를 알리지 않아서다. 월물교체를 단행하더라도 형식적인 안내조차 거치지 않은 데에서 운용이 투명하게 이뤄지지 않았을 것이란 불신이 싹트기 시작했다.

지난해 은행이 불완전판매로 뭇매를 맞았던 것은 ‘위험고지’를 하지 않은데서 비롯됐다. 은행측은 동일한 실수를 답습하고 있다. 라임사태에서도 손실가능성 미고지는 물론 1차 환매계획에 따른 안분배분 과정에서도 환매가 재개된다는 기본적인 안내를 생략한 채 안분배분으로 지급될 것이란 안내만 했다. 

지난 25일 우리은행 투자자들은 환매재개에 따른 출금 오해에 혼돈을 겪었다. 은행 측은 ‘오해’로 인한 해프닝이라고 설명했지만 오해를 빚기 전에 환매재개에 대한 안내가 충분히 이뤄졌어야했다. 추후 지점에 문의한 뒤에야 1차 분배계획에 따른 환매규모와 좌수가 안내됐다. 투자자가 고려해야할 정보가 안내됐다면 불필요한 오해로 일을 여러 번 치를 수고를 하지 않아도 될 일이었다. 

‘어느 서비스까지 제공해야 하느냐’는 반문을 제기할 수 있다. 하지만 이런 과정들을 발품 팔아 습득해야한다면 사람들은 은행과 증권사를 통해 상품을 가입하지 않을 것이다. 비대면 창구가 파도를 이루는 시대에 수고를 두 번할 필요가 있겠는가. 비대면 창구는 성향에 안 맞는 상품을 권유당할 부담도 낮다. 

물론 투자자들의 판매 직원에 대한 의존도는 개선돼야 하며 금융상품에 대한 지식습득은 문제로 제기된다. 그러나 앞으로 PB들의 경쟁상대는 타사 직원과 양질의 상품이 아닌 디지털플랫폼이 될지 모른다. 합리적이고, 빠르고, 간편한 디지털 비대면 플랫폼과 경쟁에 있어 고객에게 정보조차 투명하게 제공되지 않는다면 무엇으로 투자자의 마음을 사로잡을 수 있는지 자문해야한다. 

mylife1440@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