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려보다 금융지원이 먼저”…2분기보다 3,4분기 방어가 관건

 
금융위원회, 금융감독원, 은행연합회 및 21개 사원기관의 '코로나19 위기극복을 위한 금융지원 협약' 체결식(은행연합회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지난 3월 21개 금융기관은 '코로나19 위기극복을 위한 금융지원 협약' 을 맺었다. (은행연합회 제공)/그린포스트코리아

[그린포스트코리아 박은경 기자] 은행권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에 따른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출 증가로 여신 건전성에 경고등이 켜지면서 리스크 방어에 촉각을 기울이고 있다. 내수경기 악화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타격을 입으면서 은행권의 연체율 증가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코로나19발 여신 건전성 리스크가 은행권의 펜더멘탈 훼손으로 이어지진 않을 것으로 분석된다.

12일 한국투자증권 리서치센터 보고서에 따르면 코로나19 여파로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출이 늘어난 금융업은 여신 건전성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코로나19발 경기침체로 중소기업과 소상공인이 타격을 입으면서 연체율이 증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 은행권은 지난 1분기 실적발표 당시 연체율이 소폭 상승했다. 신한은행은 지난달 24일 실적발표를 통해 1분기 연체율이 지난해 말 0.26%에서 올해 1분기 말 0.31%로 증가했다고 밝혔다. 같은 기간 하나은행과 우리은행도 연체율이 0.1%p 늘어났다. 지난 3월부터 기업 대출과 연체율이 증가하며 코로나19 여파가 본격화된 것이다.

은행권이 1분기에는 실적을 남기면서 자산건전성이 안정적이었지만 2분기부터 불확실성이 커져 건전성 리스크 방어에 나서야한다. 코로나19로 악화된 내수업종 실적악화가 지속되고 있기 때문이다. 전날 관세청이 발표한 이달 1~10일 무역수지는 26억32000만달러의 적자를 기록했다. 지난달 무역수지도 9억5000만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중소기업중앙회가 지난 4월10~23일 1234개 중소기업(제조업 587개, 비제조업 647개)을 대상으로 코로나19 피해실태를 조사한 결과, 응답기업의 76.2%가 피해를 보고 있다고 대답해 소상공인과 중소기업의 연체 리스크 우려도 확대되고 있다.

여기에 외국인들의 금융주 순매도 행렬이 금융업에 대한 불확실성 우려를 증대시켰다. SK증권 구경화 연구원에 따르면 지난주 외국인은 5일간 2500만주를 순매도하면서 금융업종지수는 2.4% 하락했다. 특히 은행(-3.5%)이 하락세를 주도한 것으로 나타났다. 단, 국내 금융사의 실적이 크게 저조하지 않은 점을 감안하면 외국인의 수급변화를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

◇2분기 영향 저조, 하반기 리스크 방어가 관건

이 같은 우려 요인이 당장 은행권의 건전성을 크게 저하하지는 않을 것으로 전망된다. 여신 건전성 리스크에 주의가 필요하나, 당장은 여파가 크진 않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조영무 LG경제연구소 연구원은 “은행권은 우려하지 않고 있지만 비은행권은 우려가 있다”며 은행권은 리스크가 크지 않다고 바라봤다.

다만 코로나19 여파가 시차를 두고 반영되는 것을 고려했을 때 장기적으로는 건전성 리스크가 발생할 수 있어 건전성에 촉각을 기울여야 한다.

김상봉 한성대 경제학과 교수는 “정부의 유예조치 등으로 당분간은 연체가 많이 발생하지 않고 있지만 언제까지 유예시켜줄 순 없는 상황”이라며 “당장은 영향이 크지 않겠지만 연 말쯤 다다랐을 때는 연체가 발생할 수밖에 없어 지금부터 리스크 관리에 들어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사전·사후 모니터링 강화하며 금융지원 지속

은행권 또한 하반기부터 불거질 리스크를 대비해 관리에 대비하고 있다. 우리은행의 경우 부실에 처한 개인사업자를 위한 ‘개인사업자 119 재기지원’ 프로그램을 운영해 기업이 부실화되기 전에 채무상환 부담을 경감해주는 제도를 운영 중에 있다. 또 대출 기간 중 조기경보시스템을 통해 부실이 발생할 수 있는 기업에 대한 사전관리와 사후관리를 진행하는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있다.

다만, 현재까지 코로나19가 진행 중인만큼 리스크에 대한 우려보다는 사회적 책임을 부담하는 측면에서 코로나19 금융지원을 우선순위에 두고 있다는 입장이 지배적이다. 

다른 시중은행 관계자는 “연체율관리 중 코로나부분만 따로 관리하기는 어렵다”며 “지금은 리스크를 우려하기 보단 아직 코로나19가 확산되는 추세이기 때문에 사회적 책임을 부담하는 측면에서 대출지원을 우선순위에 두고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내부 기준에 따라 대출관리와 리스크 관리를 하고 있다”고 전했다. 


 

mylife1440@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