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에너지, 지구 전체 에너지 소비량의 36%… 서울은 83%
지구온난화 문제 해결하려면 건축 에너지 효율부터 높여야

사진=세종시선거관리위원회 제공
사진=세종시선거관리위원회 제공

[그린포스트코리아 채석원 기자] 세종시선거관리위원회 신청사가 관심을 끌고 있다.

세종선관위는 20일 세종시청 인근인 보람동에서 신청사 개청식을 하고 본격적인 업무에 도입했다.

지상 4층, 지하 1층 규모의 세종선관위 신청사가 관심을 끄는 이유는 공공기관 최초의 제로에너지(Zero Energy) 건축물이기 때문이다. 제로에너지 건축물은 단열 성능을 극대화하고 태양열·지열·풍력 등 신재생에너지를 이용해 건물에 필요한 에너지를 충당하는 건물을 말한다.

2017년 8월 착공해 지난해 12월 준공한 이 건물은 태양광·지열 에너지 발전, 고단열 자재, 자동제어시스템 등을 도입해 건축물에 필요한 에너지 부하와 소요량을 최소화했다.

일단 디자인부터 색다르다. 4각 형태의 벌집 모양이다. 차양 일체형 구조로 설계돼 자연광은 받아들이고 열은 차단한다.

녹색건축물인 만큼 화석연료 사용을 최대한 억제한다. 옥상 태양광 패널로 건물 안팎에서 사용하는 전기를 공급하고 지하에 설치한 지열 발전으로 사계절 냉난방을 실시한다.

이밖에 창문 크기와 옆 건물과의 거리, 자연환기 등을 모두 고려해 설계한 덕분에 에너지 자립율이 50%를 넘는다. 정확히는 52.8%를 달성했다. 에너지효율이 최고 등급인 ‘1+++’다. 1등급인 공공청사보다 에너지 소비량을 70% 이상 줄일 수 있다. 덕분에 한국 공공기관 최초로 제로에너지 건축물 인증을 받았다.

앞으론 세종선관위 신청사와 같은 건물이 대세로 자리 잡는다. 정부가 온실가스 감축 및 건축 부문 신산업 활성화 등을 위해 2030년까지 모든 건축물의 제로에너지건축물 의무화를 골자로 정책 추진 로드맵을 단계적으로 추진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 로드맵에 따르면 2020년 공공건축물(500~3000㎡미만), 2025년 공공ㆍ민간건축물(500~5000㎡), 2030년 모든 건축물(500㎡ 이상) 등으로 제로에너지 건축물이 확대된다.

선진국 역시 이 같은 추세를 선도하고 있다. 미국은 2020년까지 주거 부문, 2030년까지 공공건물의 제로에너지빌딩 건설을 의무화했고, 영국은 2016년부터 신규 주택의 이산화탄소 배출을 제로화했으며, 유럽은 2020년까지 모든 신축건물의 제로에너지빌딩 건설을 의무화했다.

건물이 소비하는 에너지를 줄이는 건 기후변화에 대응하는 가장 효율적인 방법이기도 하다. 실제로 건물이 소비하는 에너지는 지구 전체 에너지 소비량의 36%나 된다. 서울에서 건축물의 전력사용량이 전체의 83%나 차지한다.

jdtimes@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