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포스트코리아 채석원 기자] 무선인식(RFID) 기반 음식물쓰레기 생물학적 재활용처리시설이 음식물쓰레기 양을 80% 넘게 줄여주는 것으로 조사됐다.

부산시는 지난해 3월 사하구의 한 아파트에 생물학적 재활용처리시설 3대(100㎏/일)를 설치하는 시범사업을 추진한 결과, 평균 81%의 음식물쓰레기를 감량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5일 밝혔다.

공동주택의 음식물쓰레기는 입주민이 전용 용기 또는 종량기에 모아 놓으면, 구·군에서 수거·운반해 공공처리시설 또는 민간처리시설로 반입돼 처리된다. 처리 과정에서 발생하는 음식물쓰레기 폐수와 악취 등으로 인해 처리시설 인근 주민의 민원이 끊임없이 제기되고 있다. 또한 공공처리시설의 노후화에 따라 처리능력 감소와 처리시설에 대한 엄격한 악취 배출 허용 기준 적용 등에 따라 시설 운영의 어려움이 커지고 있다.

생물학적 재활용처리란 입주민이 음식물쓰레기를 기계로 투입하면 기계 안에서 미생물을 이용해 자체적으로 음식물을 발효·소멸하고 남은 잔재물은 퇴비로 재활용하는 것이다.

배출 단계에서 음식물쓰레기를 발효·소멸해 악취를 줄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당연히 주민 민원이 줄어든다. 또 수거 및 운반 단계에서 수거 대행업체에 지급하는 비용을 줄일 수 있다. 처리시설 한 대당 월 65만원의 처리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고 부산시는 밝혔다.

효과를 확인한 만큼 부산시는 지역 아파트에 RFID 기반 음식물쓰레기 생물학적 재활용처리시설 보급을 적극 보급한다.

부산시는 2022년까지 92억원을 들여 의무관리대상인 150세대 이상 공동주택의 5%인 총 520여개 아파트 단지에 음식물 처리시설 280대(대당 3300만원)을 순차적으로 설치할 계획이다.

올해 우선 16대를 보급하기 위해 현재 구·군을 대상으로 사업 참여 수요조사를 실시하고 있다. 구·군은 아파트 관리사무소장, 입주자대표 등을 대상으로 사업설명회 개최 및 사업안내 공문 발송 등 적극 홍보에 나서고 있다.

부산시 관계자는 “생물학적 재활용 처리시설 보급 사업으로 각 구·군의 음식물쓰레기 수거·운반·처리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jdtimes@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