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트렌드 '기후금융'...녹색분류체계는 물론 '기후공시' 대비해야
"국내 은행, 기후금융 확충해 신규 사업 영역 확보할 필요 있어"

최근 글로벌 금융가를 중심으로 기후금융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은 녹색분류체계 등의 대비뿐만 아니라 ‘기후공시’에 대응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사DB)/그린포스트코리아
최근 글로벌 금융가를 중심으로 기후금융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은 녹색분류체계 등의 대비뿐만 아니라 ‘기후공시’에 대응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사DB)/그린포스트코리아

최근 글로벌 금융가를 중심으로 기후금융이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다. 이에 따라 기업은 녹색분류체계 등의 대비뿐만 아니라 ‘기후공시’에 대응해야 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TCFD 등 기후공시 권고안의 준수 여부가 글로벌 투자자의 자금 흐름을 좌우할 만큼 기업 경쟁력의 핵심 요인으로 부상하고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국내 기후변화 대응지수는 아직까지 낮은 편이다. 각국의 기후변화 대응 실태를 모니터링하기 위해 고안된 기후변화 대응지수에서 올해 한국은 64의 대상 국가 중 59위를 기록했다.

한국은 지난해와 유사하게 온실가스 배출과 에너지 사용 범주에서 ‘매우 낮음’ 등급을 받고, 재생에너지 범주에서는 ‘낮음’ 평가를 받았다. 기후정책도 ‘낮음’ 단계를 받았는데, 무려 27단계나 떨어졌다. 국내외 정책 지수 모두가 ‘낮음’을 기록했다.

◇ 기후금융 왜 필요한가?

이는 결국 기후위기에 대응하기 위해서는 자본의 흐름을 유도할 수 있는 금융계의 변화를 이끌어내야 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기후금융은 기업과 사회의 탄소배출 경감을 유도하고, 저탄소 경제 이행에 기여하는 금융회사의 대출과 투자, 관련 금융상품 등을 개발하는 것을 뜻한다.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파이낸싱(PF)을 중심으로 기업·투자금융의 비중을 높이고 전기·하이브리드, 무동력 등의 청정 교통수단, 저탄소 농업 등 기후변화 대응 분야의 다양한 대출 상품을 선보일 수도 있다.

업계 관계자는 "그린빌딩에 대한 주택 담보대출을 높이거나 청정 교통수단을 이용하는 소비자들을 위한 금리 우대 상품들을 개발하는 것도 기후금융의 한 분야다"라며 "이처럼 국내 은행은 지속적으로 기후금융 상품군을 확충하고 개발하며, 투자 기회 발굴 등을 통해 신규 사업 영역을 확보할 필요가 있다"라고 설명했다. 

◇ 국내 금융기관 '기후금융' 확대

이처럼 국내 금융권 또한 다방면으로 기후금융을 확대하고 있다. KB금융그룹은 지난해 4월 글로벌 환경 이니셔티브인 넷제로은행연합(NZBA, Net-Zero Banking Alliance)에 창립멤버로 가입했다.

NZBA는 2050년까지 ‘넷제로(Net-Zero)’를 목표로 하는 은행 간 리더십 그룹이다. NZBA에 가입한 금융회사는 친환경 기술을 보유한 기업에 금융 지원을 늘리는 방법으로 온실가스 감축에 앞장선다. 특히 KB금융은 자체적으로는 그룹의 온실가스 감축 목표를 수립하고 투명하게 공시하는 등 넷제로 달성을 위해 노력할 예정이다.

최근에는 하나금융도 NZBA 가입을 통해 올해부터는 사업장별 탄소배출량 목표를 '과학적 탄소배출량 감축 목표(SBTi, Science-Based Target Initiative)' 기준으로 재조정하고, 자산 포트폴리오 탄소 배출량 목표를 공개할 예정이다.

신한은행은 지난달 국내 최초로 기후채권을 발행했다. 기후채권은 엄격한 국제 기준에 부합하면서도 환경 프로젝트 중에서도 기후변화 대응에 관련된 프로젝트에만 발행자금을 사용하도록 하는 채권이다. 

기후채권은 국제기후채권기구(CBI, Climate Bond Initiative)의 사전 인증을 획득하고 발행하는 녹색채권(Green Bond)이다.  가장 엄격한 기준을 따르는 고난도의 ESG 채권으로 발행자금을 기후변화 대응과 관련된 프로젝트에만 사용해야하는 가장 엄격한 기준을 따른다.

신한은행 관계자는 "이번 국내 최초 기후채권 발행을 통해 그린워싱(Green-washing)에 대한 투자자들의 우려를 불식시켰다"며 "외화 조달 측면에서 중장기 전략 목표인 투자자 저변 확대를 달성함과 동시에 조달비용 역시 일부 절감할 수 있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고 말했다.

기업과 소비자가 지금까지 아무런 비용 부담 없이 배출한 온실가스는 지구의 온도를 높였고, 이는 ‘기후위기’라는 말로 우리에게 돌아왔다. 결국 높아진 온도에 대응하기 위해, 상승폭을 낮추고 지속가능한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탄소 기반의 경제 구조를 모두 바꿔야 한다.

결국 이를 위해서는 '돈'이 필요하다. 세계적인 투자 기업이 단순히 재무적 가치가 아닌 ESG 경영을 요구하는 이유도 여기에 있다. 그렇다면 지구의 온도를 산업혁명 이전, 1.5°C를 넘게하지 않기 위해 금융은 어떤 방식으로 지속가능한 사회를 이끌수 있을까? 두번째 논의 주제는 국내 금융기관의 기후금융 동향이다. [편집자 주] 

minseonlee@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