규모 5.0 넘는 지진, 계측 시작 이후 처음...내진 설계 기준 2배 높여야

동국대학교 경주캠퍼스 기숙사 학생들이 지진발생 직후 놀라 운동장으로 뛰쳐나오고 있다[사진제공=독자 이재봉씨.포항거주]

 


한반도 최대 규모 지진이 발생한 가운데 지진 여파로 인한 원자력발전소 이상 유무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난 12일 저녁 한반도에서 지진 계측을 시작한 1978년 이후 최대규모인 5.8의 지진이 발생했다. 이날 오후 7시44분 경북 경주시 남남서쪽 9㎞ 지점에서 규모 5.1의 지진이 일어났다. 이어 48분 뒤인 오후 8시32분 이보다 북서쪽 1㎞ 떨어진 곳 지하 15㎞ 지점에서 규모 5.8의 2차 지진이 발생했다. 

1, 2차 지진의 진앙은 모두 경주시 내남면 부지리로 경주시청에서 약 9㎞ 떨어진 곳이다. 이후 13일 0시까지 규모 2~3의 여진이 91차례 이어졌다.

지진이 발생한 곳은 월성원자력발전소와는 27km, 고리원자력발전소와는 50Km밖에 떨어지지 않은 곳이다. 

월성원전 본부 [사진=한국수력원자력]

 


한국수력원자력은 지진이 발생한 12일 오후 11시56분부터 정밀 안전점검을 위해 월성원전 1~4호기를 차례로 수동정지했다고 밝혔다. 국내 원전은 모두 지진응답스펙트럼에 나타나는 지진계측값이 0.1g(g는 중력가속도) 이상이 되면 수동으로 가동을 중단하도록 돼 있다. 이날 월성 원전 최종 계측값은 0.1g 이상으로 나왔다.

원전에 대한 상세점검을 진행중인 산업통상자원부는 현재까지 원전이나 방사성 폐기물 관리시설(방폐장)에는 이상이 없다고 전했다. 

월성원전의 설비용량은 1호기 68만kW, 2∼4호기 70만kW로, 모두 합하면 278만kW다. 전체 원전 설비용량 2172만kW의 12.8% 수준이다. 

그러나 월성원전 4기를 제외하면 기존에 가동 중인 원전은 모두 정상 운영되고 있어 월성원전의 수동정지가 전력 수급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을 전망이다.

원전이 일단 가동 중단되면 최소 3~4일간은 다시 가동할 수 없다.

우리나라 원전 발전량은 지난해 기준 16만4771GWh이며 전체 발전량의 31.5%를 차지한다. 

지난 7월 울산에서 규모 5.0의 지진이 발생하는 등 최근 몇 년 동안 우리나라 지진활동이 높은 빈도로 나타나면서 원자력발전소의 내진 설계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다. 전력공급수단의 큰 비중으로 활용되는 원전이 가동을 멈출 경우 전력수급에 심각한 차질이 예상되기 때문이다.

한수원에 따르면 월성·신월성 원전은 원자로에서 수직으로 지하 10km 지점에서 지진이 발생했을 경우 각각 진도 6.5, 7까지 견디도록 설계돼 있다. 산업부는 지진 발생지점이 원자로에서 멀리 떨어진 지점이라서 충분히 견딜 수 있는 수준이라고 밝혔다. 

1971년 착공돼 국내에서 가장 오래된 고리 1·2호기도 지진 규모 6.5에 견디도록 설계돼 있다. 한수원은 2007년 착공한 신고리 3, 4호기부터 지진 규모 7.0에도 견디도록 설계를 강화했다.

하지만 국내에서 지진으로 원전 가동이 중단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규모 5.0 이상이 발생된 것도 지난 7월 울산 앞바다 이후 연이은 것으로 내진 설계 기준을 2배로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국회와 환경단체들을 중심으로 나오고 있다.

실제 일본이 0.3~0.6g을 견딜 수 있도록 설계하는 경우가 많은 것에 비해 통상 한국의 경우 0.2g를 기준으로 원자력발전소를 설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정미 의원(정의당)은 "월성원전 내진 설계를 규모 6.5까지 보완했다고 하지만 안전성 논란이 계속돼 왔다"며 "월성원전과 고리원전에 대한 긴급안전진단을 전문가들과 함께 공개적으로 검증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소방방재청이 2012년 10월 작성한 ‘활성단층지도 및 지진위험지도 제작’ 보고서에 따르면△50~200년 주기로 규모 4~4.8 △500~2400년 주기로 규모 5.3~5.6 △4800년 주기로 규모 6 의 지진이 발생된다.

이를 토대로 보면 이번에 발생한 규모 5.8은 2400~4800년 주기로 한번 발생할까 말까한 규모다. 

이 의원은 "우리나라는 더 이상 지진 안전지대가 아니라는 사실이 다시 한 번 확인된 것"이라며 원전 내진 설계 강화를 촉구했다. 

quqdass@eco-tv.co.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