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중앙회, 148개 상장사 공급망 ESG 관리 실태 분석
상장사 75%, 공급망 실사 대응 위해 공급망 ESG 관리 중
지원 방안은 교육·컨설팅에 집중…장비·인증 취득 지원 필요

글로벌 주요국의 공급망 실사 법제화 흐름에 맞춰 공급망 ESG 관리 체계 마련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국내 주요 기업들. (사진=본사 DB)/그린포스트코리아
글로벌 주요국의 공급망 실사 법제화 흐름에 맞춰 공급망 ESG 관리 체계 마련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난 국내 주요 기업들. (사진=본사 DB)/그린포스트코리아

국내 주요 대·중견기업이 공급망 ESG 관리를 강화하고 있지만, 하드웨어적 지원, 인증 취득 지원 등 실질적인 현장 지원은 저조하다는 조사결과가 나왔다. 

중소기업중앙회(이하 중기중앙회) 6일 ‘2024년 대기업 공급망 관리 실태 분석 보고서’를 발간했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주요 대·중견기업 148개사 중 75%가 자체적으로 공급망의 ESG를 관리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대부분의 지원은 교육이나 컨설팅에 집중돼 있어 실질적인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 공급망 실사 대응 체계 마련 중인 국내 주요 기업들 

중기중앙회의 이번 분석은 한국거래소 ESG 포털에 지난해 9월 말까지 보고서를 자율 공시한 상장 대·중견기업 148개사를 대상으로, 공급망 ESG 관리 활동을 14개 세부활동으로 구분하고 그 실시 여부 및 내용에 대한 분석결과를 담았다.

분석결과에 따르면 대상기업의 75%가 자체적인 행동규범, 평가기준, 협력사 지원 등을 통해 공급망 ESG 관리를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세부활동별로 살펴보면 ▲협력사 평가 실시(75.0%) ▲협력사 행동규범 보유(67.6%) ▲협력사 평가항목 보유(57.4%) ▲구매시스템에 반영(52.0%) 순으로 실시 비율이 높아 대다수 상장기업이 협력사 ESG 평가체계 구축 등 공급망 ESG 관리를 위한 기초 인프라 마련에 집중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최근 미국, 유럽연합(EU) 등 주요국에서 공급망 ESG를 관리·공시하도록 하는 공급망 실사의 법제화에 국내 대기업들이 대응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해외 수출 의존도가 높고, 최근 대 중국보다 미국, EU 등 공급망 ESG 규제가 강화되고 있는 주요 국가로 수출이 크게 늘고 있는 상황이다. 공급망 ESG 관리 강화는 필수가 된 흐름인 셈이다.

특히 이번 분석에 대해 중기중앙회는 공급망 ESG 활동이 기업규모보다 업종과 관련이 높다고 평가했다.

실제 업종별 대응 수준은 자동차 및 트레일러 제조업(74.4%), 전자부품·컴퓨터·영상·음향 및 통신장비 제조업(66.7%), 전기장비 제조업(63.1%), 건설업(60%), 통신업(59%) 순으로 높게 나타났다.

해당 업종들은 원료, 소재 및 부품 조달이 생산 및 매출과 직결되는 업종으로, 협력사 관리 중요성이 무엇보다 높은 업종이다. 또 해당 업종의 대표기업들이 현대자동차그룹, 삼성전자, SK하이닉스, LG에너지솔루션 등 주요 매출처에 미국, 유럽 등 해외 선진국이 포함돼 있다는 점도 높은 평균 대응비율을 보이는 데 일조했다.

기업 규모별로 평균 대응은 대기업 42%, 공기업 38.5%, 중견기업 30.3% 순으로 공급망 ESG 관리 활동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기중앙회는 이러한 조사결과에 대해 “기업의 규모보다 기업이 어떤 업종에 속해 있는지가 공급망 ESG 관리 활동과 더 높은 관련성을 가진다는 것을 암시한다”며 “기업의 규모가 상대적으로 작은 중견기업이라도 공급망 ESG 관리의 필요성이 높은 업종에 속해 있을 경우 관련 활동이 활발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 협력사 ESG 지원, 교육과 컨설팅에 집중…실질적 지원 필요

대상 기업들의 협력사 지원 활동 대응 비율 비교. (자료=중소기업중앙회, 2024년 대기업 공급망 관리 실태분석 연구 보고서)/그린포스트코리아
대상 기업들의 협력사 지원 활동 대응 비율 비교. (자료=중소기업중앙회, 2024년 대기업 공급망 관리 실태분석 연구 보고서)/그린포스트코리아

주요 상장기업들이 공급망 ESG 관리 체계를 마련하고 있는 것과 달리 공급망 기업들에 대한 실질적인 지원은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대상 기업들의 협력사 ESG 지원 활동은 ▲교육(41.2%) ▲평가 컨설팅(31.1%) ▲장비 제공 등 하드웨어적 지원(21.6%) ▲인증 취득 지원(14.2%) 순으로 조사됐다. 대부분의 지원 활동이 교육이나 평가 컨설팅에 집중된 반면, 장비 지원, 인증 취득 지원 등의 실질적인 지원은 비교적 저조한 것이다.

또 인센티브 및 페널티 정책과 관련해 인센티브 적용이 확인된 기업은 10.1%(148개 기업 중 15개), 페널티가 적용된 것으로 확인 된 기업은 18.9%(148개 기업 중 28개)로 페널티를 적용한 경우가 더 많았으며, 행동규범 상에 'ESG 평가 결과에 따른 페널티 부과 조항‘을 두고 있는 기업 비중이 43.2%로 나타나 ESG 평가 미달 시 거래 제한 등 페널티 부과하는 영향이 확대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중기중앙회는 선진국을 주요 매출처로 삼고 있는 자동차, 장비·부품 제조 업종의 경우 협력사 탄소배출량을 측정·관리하도록 하는 규제가 이뤄지고 있는 만큼, 협력사의 온실가스 배출량 감축 노력에 대한 요구 경향도 점차 확대될 것으로 예상했다.

양찬회 중기중앙회 혁신성장본부장은 “중소기업 ESG 역량 강화를 위한 협력사의 자체적인 노력도 중요하지만 공급망 ESG에 대해 가장 잘 아는 대·중견 원청사의 멘토링 같은 실질적인 지원 확대가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업종별로 공급망 ESG 관리의 중요도에 차이가 있으므로 업종에 따라 맞춤형 정부지원을 한다면 효과가 클 것으로 생각된다”고 제언했다.

hdlim@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