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탄소중립 정책과 기후공시 강화…산업계 기후대응 요구도 커져
환경부-산업부, 업종별 기후위기 적응협의체 구성·운영 중…내년 확대할 것

20일 LW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하반기 산업계 기후위기 적응 경쟁력 포럼'. (사진=임호동 기자)/그린포스트코리아
20일 LW컨벤션센터에서 열린 '하반기 산업계 기후위기 적응 경쟁력 포럼'. (사진=임호동 기자)/그린포스트코리아

국제사회가 탄소중립을 위한 논의와 직접적인 행동을 강화할 것으로 의견을 모음에 따라 국내 산업계에서도 내년부터 탄소저감과 기후위기 대응력 강화를 위한 노력이 한층 강화될 전망이다.

환경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20일 LW컨벤션센터에서 ‘하반기 산업계 기후위기 적응경쟁력 포럼’을 개최했다. 이날 포럼에서는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총회(CoP28)에서 논의된 글로벌 기후 대응력 제고 방안, 글로벌 기후공시 제도 동향 등을 살펴보고, 국내 산업계의 탄소중립, 기후위기 대응 방향에 대해 논의하는 시간을 가졌다.

◇ 국제사회, 산업계 기후위기 대응력 강화 요구 커져

이날 포럼은 1부 ‘기후리스크 공시 대응을 위한 기업 대응 방향’과 2부 ‘적응협력체 성과 공유’로 구성, 진행됐다.

1부 발표자로 나선 전문가들은 기후공시에 대해 산업계가 대응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기후 관련 글로벌 기후공시 동향을 주제로 발표한 김형찬 에코네트워크 이사는 기후공시 프레임워크인 ‘TCFD’가 주요 글로벌 공시 기준에 반영되고 있음을 지적하며, 국내 기업들도 TCFD 기준에 맞춰 공시체계를 고도화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했다. 

김 이사는 “ESG 공시 기준으로 불리는 IFRS의 ISSB 기준을 비롯해 미국증권거래소 기후공시, 유럽연합의 ESRS 등 글로벌 공시기준에 TCFD가 반영됐다”며 “이미 글로벌 기업들은 기후변화에 관련된 리스크와 기회가 기업에 미치는 영향, 기후변화 시나리오에 기반된 대응 전략 등을 수립하고 이를 공시하거나 별도의 보고서를 발간하고 있는 만큼 국내 기업들도 TCFD를 기반으로 한 공시 고도화를 준비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김지수 환경부 기후적응과 과장은 CoP28 당사국 총회의 결과를 사례로 들며, 산업계의 탄소저감 이행 요구가 더욱 강화될 것이라고 지적했다. 김 과장은 “CoP28 당사국총회에서 가장 주목할 점은 각 국가별로 NDC 이행과 기후위기 적응을 얼마나 잘하고 있는지를 보고하는 'BTR 보고서'를 2024년 12월 말부터 격년 발표하고, 이를 상대 비교해 더 적극적인 기후위기 대응에 나서는 것”이라며 “BTR 보고서에는 산업계도 당연히 포함될 것이며, 내년부터 산업계의 탄소저감 및 기후위기 대응력 강화를 위해 활발한 논의가 이뤄질 것”이라고 전망했다.

◇ 정부, 산업계 적응협의체로 업종별 기후위기 대응력 키울 것

올해 구성·운영되고 있는 '산업계 기후위기 적응협의체'에 대한 산업계의 코멘트를 청취하고 협의체 활성화 및 지원 확대를 약속한 김지수 환경부 기후적응과 과장. (사진=임호동 기자)/그린포스트코리아
올해 구성·운영되고 있는 '산업계 기후위기 적응협의체'에 대한 산업계의 코멘트를 청취하고 협의체 활성화 및 지원 확대를 약속한 김지수 환경부 기후적응과 과장. (사진=임호동 기자)/그린포스트코리아

이날 포럼 2부에서는 환경부와 산업통상자원부가 구축 운용하고 있는 '산업계 기후위기 적응협의체'의 성과를 공유하고, 적응협의체에 대한 산업계의 의견을 자유롭게 토론하는 시간이 진행됐다.

산업계 기후 위기 적응협의체는 지난 6월 정부가 ‘제3차 국가기후위기 적응 강화대책’을 발표함에 따라 환경부가 산업통상자원부와 협력해 산업계의 기후위기 이슈 대응을 위해 구성한 민관 협력체다. 기후변화의 물리적 위험·기회·대응 기술·영향평가·시나리오 적용방법 등 다양한 기후변화 적응 관련 정보를 개발 공유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는 적응협의체는 현재 10개 업종(▲소비재 ▲채광·광물가공 ▲금융 ▲식음료 ▲헬스케어 ▲인프라 ▲재생자원·대체에너지 ▲자원변형 ▲서비스 ▲기술·커뮤니케이션 ▲운송)의 협의체가 구성·운영되고 있다.

협의체는 업종의 기후변화에 따른 리스크를 위험요인과 기회요인으로 분석하고, 이에 대응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 특히 올해는 비철금속/석유화학 산업을 중점사업으로 기후리스크 분석 및 대응 방안을 집중 논의해왔으며, 이러한 결과를 이번 포럼에서 발표했다.

홍기범 스마트에코 실장은 “중점 사업의 피해사례 및 평가 설문을 토대로 석유화학은 용수 공급, 비철금속은 전력 공급이 중점 리스크로 꼽혔다”며 “석유화학은 충남 서산지역을 중점 지역으로 가뭄 대응 대책 마련, 용수 재활용 등 용수공급 기술 등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비철화학은 온산 지역을 중점지역으로 전력 공급 적응대책 마련과 태양광 ESS 수소저장시스템 등 전력공급 기술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설명했다.

또 포럼에 참여한 산업계 관계자들은 적응협의체에 대한 업종 다양화 및 참여기업 증가가 필요하며, 기후공시, 생물다양성공시 방안 등에 대한 정보 공유가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김지수 환경부 기후적응과 과장은 “적응협의체는 올해 처음 시작된 만큼 앞으로 참여기업을 확대하고 다양한 업종에서 적응협의체를 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해 나갈 것”이라며 “산업계에서도 다양한 기업들이 논의에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해주길 바라며, 지속적인 네트워크를 구축할 수 있도록 노력해주길 바란다”고 전했다.

hdlim@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