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리츠운용, 메리츠더우먼펀드 내 354개 기업 분석
기업 규모 작을수록 인식개선 더뎌
여성 경영참여 비율 높을수록 주가 수익률↑

메리츠자산운용이 세계여성의 날(3월 8일)을 맞아 ESG 전문기업인 서스틴베스트와 함께 여성의 경영참여비율이 높은 기업에 투자하는 메리츠더우먼펀드의 투자 유니버스 국내 354개사(자산규모 2조 이상 136개사, 2조이하 218개사)를 조사한 결과를 발표했다.

메리츠자산운용과 서스틴베스트의 조사 결과 국내 기업들의 성평등 인식 개선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나타났다. (사진=Unsplash)/그린포스트코리아
메리츠자산운용과 서스틴베스트의 조사 결과 국내 기업들의 성평등 인식 개선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나타났다. (사진=Unsplash)/그린포스트코리아

경영참여도를 나타내는 지표인 이사회 구성과 관련해 자산총액 2조 이상인 기업 중 여성 등기임원수가 1명이상인 기업의 비중은 2021년 결산기준 81%로 2019년의 30%대비 3배 가까이 증가했다. 자산총액 2조이상인 기업중 여성등기임원이 한명도 없는 기업의 비중은 2021년 결산기준 19%로 2019년의 70% 대비 대폭 감소했다.

남녀 근로자간 근속년수 차이 및 급여 차이도 줄어드는 등 기업내 성평등 지표가 개선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근속연수의 차이는 남녀 간 고용형태 및 인재양성 정책의 차이 등을 반영하는 지표로 남성 근속연수에서 여성근속연수를 뺀값으로 계산한다. 숫자가 클수록 근속년수 차이가 크다는 의미다.

근속년수의 차이는 업종별로 차이가 여전히 격차가 있으나 대기업을 중심으로 근속년수 차이가 줄어들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업종별로 소비재, 서비스 업종의 경우 자산총액 2조이상 기업의 경우 근속년수차이가 2019년 1.50년에서 1.30년으로 줄었다. 산업 및 제조업의 경우도 2.46년에서 2.14년으로 근속기간 차이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남성 비중이 높은 에너지 유틸리티 업종의 경우 근속년수차이가 3.76년에서 3.99년으로 오히려 늘어났다.

급여차이는 업무의 생산성이나 근속기간등에 의해 결정되는 요인으로 근속기간, 업무 난이도, 고용형태 등에 영향을 받으며 성평등의 중요한 지표로 의미가 있다. 남녀 급여차이는 남성평균 급여를 여성평균 급여로 나눈 값이며 값이 클수록 급여차이가 크다는 의미다.

자산총액 2조원 이상 기업의 경우 대부분의 섹터에서 남녀 급여 차이가 줄어드는 추세였다. 소비재 서비스 업종의 경우 2019년 급여 차이가 1.46배에서 2021년 1.39배로 줄어들었고 산업재 및 제조업종의 경우도 1.43배에서 1.35배로 낮아졌다.

다만 2조원 미만 기업에서는 남녀 급여 차이의 유의미한 변화를 확인할 수 없었다. 소비재 서비스 업종의 경우 1.31배에서 1.33배로 격차가 더 커졌고 산업재 및 제조업에서도 1.37배→ 1.41배로 확대됐다.

상대적으로 규모가 큰 기업들에선 인식개선이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다만 자산총액 2조원 미만의 중견기업에서는 여성의 이사회 참여 비중, 근속년수, 급여차이에서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고 있어 중견기업에 대한 인식개선의 확산이 필요한 것으로 파악됐다. 자산총액 2조 이하 기업의 경우 같은 기간 여성 등기임원이 1명이상인 기업의 비중이 2019년 23%에서 28%로 5%P 늘어나는데 그쳤다.

김홍석 메리츠더우먼펀드 책임운용역은 “해외사례를 보면 여성의 경영참여 비율이 높은 회사의 자기자본수익률(ROE)과 주가 수익률 측면에서 나은 성과를 보이고 있음을 알수 있다”며 “한국도 우수한 펀더멘털을 기반으로 여성의 경영참여 비중이 높아지는 회사를 선별하여 투자한다면 더 좋은 성과를 기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jdh@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