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기준된 탄소중립, CBAM 등 강화되는 규제
해법은 온실가스 감축 및 탄소중립 이행 등 ESG

30일 열린 ‘2022 글로벌 ESG 포럼’에서  ‘탄소중립을 향한 행동의 10년, 국제기후질서와 한국의 역할’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 김효은 외교부 기후변화대사(사진 임호동 기자)/그린포스트코리아
30일 열린 ‘2022 글로벌 ESG 포럼’에서 ‘탄소중립을 향한 행동의 10년, 국제기후질서와 한국의 역할’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 김효은 외교부 기후변화대사(사진 임호동 기자)/그린포스트코리아

재계 및 환경 관련 분야 전문가들이 기업 ESG경영의 중요성이 앞으로 계속 강화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탄소중립에 대한 구체적 계획 없이는 물건이나 제품을 팔 수 없고 투자도 받을 수 없는 시대가 오고 있다"는 의견도 제기됐다. 

29일부터 시작된 ‘2022 글로벌 ESG 포럼’에서 ‘기후위기와 ESG’를 주제로 세미나가 열렸다. 해당 프로그램에서는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이라는 글로벌 과제 속에서 기업의 ESG경영 흐름이 어떤 방향으로 진행될 것인지에 대한 전망이 이뤄졌다.

◇ "탄소중립 안하면 제품 못 파는 시대 온다"

이날 ‘탄소중립을 향한 행동의 10년, 국제기후질서와 한국의 역할’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 김효은 외교부 기후변화대사는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세계정부의 노력과 기후위기 및 탄소중립을 위한 글로벌 규제 등에 대해 설명했다.

김효은 기후변화대사의 발표에 따르면 신기후체제 출범 이후 모든 국가가 기후행동에 참여하고 있는 상황이며, 국가마다 스스로 감축할 목표치를 설정하고 이를 얼마나 이행하고 있는지 측정, 보고, 검증하는 절차를 거치고 있다.

뿐만 아니라 미국의 주도로 G20 회원국이 모여 진행하는 ‘에너지 및 기후에 관한 주요경제국포럼(MEF), G7 의장국인 독일을 주축으로 추진이 예상되는 'G7 Climate Club' 등은 약 200개국이 참여하는 ’UN기후변화회‘의 더딘 집행력을 대신해 글로벌 기후위기 대응을 리드하기 위한 논의를 이어가고 있는 상황이다.

규제도 점점 강화되고 있다. 유럽의 경우 탄소국경조정제도(이하 CBAM) 시행을 앞두고 있다.

CBAM은 온실가스 배출에 대한 국가 간 감축의욕의 차이를 보정하는 무역 제한 조치로, 목적지 시장의 환경정책 또는 온실가스 배출규제로 인해 발생하는 비용을 해당 시장 교역상품 가격에 반영해 조정하는 것이다. 즉, 유럽으로 수입되는 시멘트, 전기, 비료, 철강, 알루미늄의 의 직접배출 탄소에 대해 탄소세를 부과하겠다는 것이다.

이는 미국으로 확대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으며, 김효은 기후변화대사의 발표에 따르면 G7 Climat Club 역시 CBAM처럼 탄소배출 제품의 규제를 목표로 하고 있는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김효은 기후변화대사는 “지난해 2030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 설정 당시 글로벌 흐름에 근거해 설정했으나, 일부 기업, 국민들의 반발이 있었다”며 “불과 1년 사이 이제 탄소중립에 대한 구체적 계획 없이는 물건이나 제품을 팔 수 없고 투자도 받을 수 없는 시대가 오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한 김효은 기후변화대사는 “탄소중립은 글로벌 기준으로 계속 강화될 것이다. 정부, 기업, 개인 모두가 각자의 자리에서 탄소중립을 어떻게 실현할 것인가 고민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 글로벌 흐름 된 탄소중립...ESG 계속 중요해질 것

‘ESG경영과 탄소중립을 위한 산업부의 대응’을 주제로 발표를 진행한 전의찬 2050 탄소중립위원회 기후변화위원장 역시 탄소중립 속 산업계의 ESG 경영 강화를 주장했다.

전의찬 위원장은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글로벌 흐름 속에 ESG가 함께 강조되고 있으며, 세 가지 중 환경(E)이 약 50%를 차지할 정도로 중요하다고 생각한다”며 “ESG를 강화해 탄소중립을 이행하는 것이 결국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전의찬 위원장은 EU CBAM을 통해 기업의 ESG와 탄소중립을 강조했다. 전의찬 위원장의 발표에 따르면, EU CBAM 도입에 따라 우리나라에 부과될 금액은 2026년 기준 1300억원, 2035년 4600억원으로 전망된다. 적용 품목이 확대될 경우 부과 금액은 더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전의찬 위원장은 “EU 의회의 수정안에 따라 EU CBAM 품목은 초기 철강, 전력, 비료, 알루미늄 시멘트 등 5개에서 유기화학품, 플라스틱, 수소, 암모니아 등이 추가돼 9개 품목으로 확대됐다”며 “EU CBAM은 2027년 1월 집행될 예정이며, 미국도 CBAM을 논의중인 만큼 기업들은 온실가스 감축의지가 없으면 큰 패널티를 받을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이에 전의찬 위원장은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기술개발, 공정의 저탄소화, 에너지효율 장비 적용, 산업의 스마트화 등 산업부문의 탄소중립을 위한 전환이 필요하다”며 산업부문의 ESG경영을 강조했다.

hdlim@greenpost.kr

저작권자 © 그린포스트코리아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