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산배낭 크기 PE로 소형전기차 씽씽··· 현대모비스, 전동화 신기술 50개 공개
현대모비스, ‘테크 브릿지 2025' 개최··· 고객사와 협력사에 신기술 공개 도심형 소형 PE· 승차감 향상 저상화 섀시모듈· 사출 금형 기술 등 눈길
현대모비스가 올해 개발한 전동화·모듈 부문의 신기술 50개를 공개하며 전기차 핵심 부품 경쟁력 강화에 나섰다. 현대모비스는 전기차용 대형 부품과 모듈 설계·생산 경험을 기반으로 기술 포트폴리오를 확대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글로벌 부품사 상위권의 입지를 굳힌다는 전략이다.
현대모비스는 지난 18일부터 이틀간 경기도 의왕시 의왕 전동화연구소에서 ‘테크 브릿지(Tech Bridge) 2025’를 개최했다.
이번 행사는 전동화와 모듈부문이 공동 개최한 첫 기술 전시회로, 완성차 고객사와 부품 협력사를 연결해 신기술 연구성과를 공유하기 위해 매련됐다.
이번 행사에서 현대모비스는 전동화 분야에서 28개, 모듈 분야에서 22개의 신기술을 선보였다. 배터리·구동 시스템·전력제어기 등 전기차 핵심 기술뿐 아니라 섀시·칵핏·조명·외장 모듈까지 다양한 기술을 통합해 소개했다.
전동화 사업에서 올해 대표 성과로 꼽히는 기술은 도심형 소형 전기차 전용으로 개발한 120kW급 PE(Power Electric) 시스템이다. 모터·인버터·감속기를 하나로 묶은 구동패키지로, 부피는 축소하고 더 많은 적재가 가능하도록 부품의 높이는 낮춘 저상형 구조로 설계했다. 이를 통해 현대모비스는 중형과 대형 전기차에 이어 전기차 전 차종을 아우르는 구동시스템 라인업을 확보하게 됐다.
충전 속도를 크게 높인 차세대 ICCU(Integrated Charging Control Unit)도 공개됐다. 22kW급 고출력 충전 제어 기술로, 충전 중 배터리 전압·온도 등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며 안전성과 속도를 동시에 확보했다. 자체 알고리즘으로 충전 속도를 능동 제어해 충전시간을 기존 대비 약 두 배 단축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모듈 부문에서는 차체 하부 공간을 넓히는 저상화 기술이 눈길을 끌었다. 특히 기능 통합 저상화 섀시 모듈은 기존 스틸 코일 스프링과 유압식 쇼크업소버를 복합재 판스프링과 전동 로터리형 댐퍼로 대체한 구조다. 경량화와 주행감성 향상 두 가지 효과를 동시에 확보한 것이 강점이다. 현대모비스는 이 기술 개발 과정에서 5건의 특허를 출원했다.
칵핏 모듈 분야에서는 전력 소모를 줄이면서도 고휘도를 구현하는 저전력 LED 기반 무드조명 제어기, 금속 적층 방식의 WAAM(Wire Arc Additive Manufacturing) 사출 금형 기술 등이 소개됐다. 이는 제품 경쟁력뿐 아니라 생산 효율 향상에도 기여하는 기술로 평가된다.
전동화 부품은 부품사의 역량을 가늠하는 핵심 지표로 꼽힌다. 배터리 시스템, 전기차 모듈과 같은 대형 부품을 안정적으로 공급하려면 설계·품질·생산 기술뿐 아니라 대규모 시설 투자까지 필요한 까닭이다.
현대모비스는 이러한 역량을 바탕으로 미국 자동차 전문지 ‘오토모티브뉴스(Automotive News)’의 글로벌 100대 부품사 평가에서 최근 3년 연속 6위를 기록했다.
현대모비스 관계자는 “전기차 전환 속도가 빨라지는 만큼 전동화 핵심기술과 모듈 기술의 융합이 더욱 중요해지고 있다”며 “연구개발 자원을 집중해 완성차 고객사와 협력사를 위한 통합 솔루션을 지속 제시하겠다”고 말했다.